전력 e마켓, 한전 구조조정 진통이 여전히 발목 붙잡아

연간 9조원대에 달하는 전력설비·자재 조달시장을 겨냥한 전력 e마켓 구축작업이 한국전력의 민영화작업에 따른 진통으로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다. 지난해 말 정부가 전력산업 구조개편계획을 확정지은 뒤 한전이 업계 전문가들과 함께 e마켓 실무위원회를 구성했지만 논의는 여전히 제자리 걸음이다. 이에 따라 9대 업종별 e마켓 가운데 전력분야는 다음달 기본계획(ISP)이 제출되고 오는 4월 6개 민영화 대상 자회사가 분리된 후에야 본격적인 실무작업이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한국전력의 한 고위 관계자는 『민영화를 앞두고 경영진들이 투자를 기피하려는 기색이 역력하다』면서 『최소한의 투자를 전제로 전력 e마켓은 4월 이후에야 윤곽을 잡아나갈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지난해 11월 한전은 20여개 업체 및 단체 전문가들과 e마켓 실무위원회를 구성했지만 아직 추가모임조차 갖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최근 한전 경영층에서는 전력설비·자재 조달창구로 e마켓을 별도 구축해야 하는지, 외부 아웃소싱을 통해서도 가능한지를 놓고도 고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 관계자는 『국산 솔루션을 쓴다면 20억∼30억원의 투자로 가능하지만 한전이나 민영화대상 발전부문이나 최근에는 단 1억원의 투자도 꺼리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그러나 전력부문은 e마켓 도입에 따른 원가절감 및 업무혁신 효과가 특히 큰 분야로 인식되는 만큼 시기는 다소 지연되더라도 대세에는 지장이 없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전력 e마켓의 경우 새로운 수익창출보다 한전의 거대한 조달물량을 온라인화하는 데 우선적인 초점을 두고 있는데다 정부도 이같은 취지에서 지난해 지원대상업종으로 선정했기 때문이다.

한전 관계자는 『1단계로 한전과 6개 민영 발전자회사를 중심으로 1·2차 납품업체들을 묶어낸다는 게 기본적인 구상』이라며 『이후에는 민간기업들을 대상으로 참여범위를 대폭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한기자 hseo@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