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대덕밸리 2회>인터뷰-KAIST 김종득 신기술창업지원단장

『정부의 벤처 자금지원은 단순한 자금융자 성격에서 벗어나 수익성과 성장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선별적인 지원정책을 펴나가야 할 것입니다.』

김종득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기술창업지원단장은 정부의 벤처자금 지원정책이 벤처 양산을 위한 무분별성을 벗어나 자금회수 등에 신경쓰는 사후관리에 들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단장은 『정부의 벤처지원시책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부분이 자금지원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동안 해외차관을 비롯해 국가재정으로 대규모의 중소기업지원자금을 집행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에 투입된 자금이 회수되는 경우는 극히 저조한 실정』이라며 벤처지원정책의 방향선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벤처지원정책이 창업초기기업·지방벤처기업 등으로 구분해 수립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김 단장은 현재 정부의 단기적인 자금지원에서 장기적 투자 개념으로 제도가 바뀔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단장은 『창업초기 기업들은 규모가 작고, 기업의 형태를 갖추지 못한 기술개발 진행단계에 있어 경영분야 활동이 미미할 뿐만 아니라 전문가 활용비율이 저조하다』며 『벤처는 전문가의 상담과 자문 때문에 기업의 기술 및 제품이 외부에 노출된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 같다』고 신기단 운영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특히 보육센터가 저렴한 사업장 임대 외에 기업활동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각 분야의 전문가간 긴밀한 네트워크와 기술개발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일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김 단장은 벤처업계 자금지원을 위해 정기적인 투자설명회, 벤처캐피털, 엔젤클럽과의 연계를 적극 모색하고 있으나 보유기술의 정확한 가치파악이 어렵고 투자기관 등이 창업초기 기업에 적극적인 투자를 꺼리는 점 때문에 벤처기업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또 김 단장은 『벤처창업의 활성화가 투기의 활성화로 최근 잘못 인식되어 가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고 있다』며 『벤처 분위기에 편승해 한번 창업을 해본다는 식의 행동은 자제돼야 할 뿐만 아니라 창업전 철저한 사전검증과 평가작업을 거친 후 창업으로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