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중소기업의 수출증가세

올들어 중소기업들의 수출이 증가세를 보여 전체 수출비중이 IMF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부존자원이 부족하고 상대적으로 외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가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하려면 수출을 늘리는 일이 가장 시급한 일임을 감안할 때 중소기업들의 수출 증가세는 국가경제 성장의 청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는 바람직한 현상이다.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IMF사태를 맞아 지난해까지 계속 내림세를 보이던 중소기업의 수출비중이 지난해 34%대에서 올들어 1·4분기에는 35%대로 높아졌다고 한다. 또 이 기간중 중소기업들의 수출 증가율은 46.4%로 전체 수출 증가율인 30.1%를 훨씬 웃돌았다.

그러나 이 같은 긍정적인 추세 속에서 우리가 냉정히 생각해야 할 점은 비록 중소기업의 수출이 늘고 있지만 이런 현상이 앞으로 계속된다는 보장이 없다는 점이다. 제품의 품질이나 가격은 상대적이기 때문에 현재 외국시장에서 국산품이 인기를 누린다고 해도 비교우위 제품이 등장하면 국산품은 뒷전으로 밀려나 수출이 늘어날 수가 없다.

따라서 중소기업들은 이번 기회를 세계시장 확대의 출발점으로 삼아 기술개발이나 품질향상 및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올해 무역수지 흑자규모를 120억달러로 잡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수출전략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지난 1·4분기의 실적을 보면 395억달러 어치를 수출하고 388억달러 어치를 수입해 7억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그러나 4월 이후에는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 전망하기 어렵다. 수출시장의 변화와 우리의 노력 결과에 따라 흑자를 기록할 수도 적자를 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국내기업들이 수출을 늘려 무역수지 흑자를 달성하려면 우선 제품의 특화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우리가 자신있는 제품이나 반도체와 컴퓨터·정보통신기기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주력으로 삼아 지역별로 차별화한 수출전략을 수립해 공략하면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반도체와 자동차 등에 대한 미국, EU 등과의 통상현안을 최대한 빨리 해결해야 할 것이다. 지난해 우리는 세계 2위의 반덤핑 피소국이었다고 한다. 지난 98년의 20건이 작년에는 31건으로 늘어나 근본적인 대책을 서둘러야 할 문제다.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해외시장개척단을 파견하고 외국의 통상정책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공조체계를 구축하는 일도 필요하다.

특히 디지털시대에 대비해 전자상거래 인프라 구축과 디지털 추세에 부적합한 법이나 제도 등을 정비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수출거래가 전자상거래를 기반으로 하는 환경으로 급격히 전환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들의 수출 증가세가 국내 기업들의 품질향상과 소비자들에 대한 신뢰성 확보로 연결돼 수출비중을 계속 늘려 나가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