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인터넷 선진국

3월 말 현재로 우리나라의 인터넷 인구가 1400만명에 육박했다는 보도다. 지난해 12월 1000만명을 돌파한 지 불과 석달여만의 일이다. 공식적으로 매달 우리나라 인터넷 관련 통계를 발표하는 한국인터넷정보센터에 따르면 이 수치는 1년 전인 99년 3월의 368만명에 비해 무려 3.8배 증가한 것이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올해 말경 우리나라 인터넷 인구는 총인구의 절반가량인 2300만∼2500만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다시 말해 국민 두명당 한명꼴로 인터넷을 사용하게 되며 인터넷 인구가 총인구 규모에 근접할 날이 멀지 않았다는 얘기가 된다.

여러 통계를 종합해 보면 한국의 인터넷 사용현황은 사용자수에서 이미 선진국 대열에 진입해 있다. 지난해 말 미국을 제외한 전세계 인터넷 인구가 50명당 1명꼴인 1억2000만명인 데 반해 한국은 4.5명당 1명꼴로서 세계 7위권에 랭크된 것이 바로 그 증거다. 이에 앞서 세계적인 인터넷기관 알마넥도 우리나라의 인터넷 사용자수가 미국·일본·영국·캐나다·독일·호주 등에 이어 세계 10위권인 것으로 조사 발표한 바 있다.

우리나라의 인터넷 인구 증가세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우선적으로는 90년대 후반부터 본격 추진된 초고속망 설치 등 정부의 인프라시설 확충정책에 힘입은 바가 컸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업들이 주축이 된 고속 디지털가입자회선(xDSL)의 공급물량 확대도 주요 요인이 됐다.

인터넷 인구의 증가에 따라 눈에 띄게 달라진 것이 인터넷 비즈니스를 주업으로 하는 벤처기업들의 대거 등장이다. 현재 등록된 4500여개의 벤처기업 가운데 70% 이상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 좋은 예다. 세계적으로 그 비율이 가장 높다는 사이버트레이딩(증권) 등 인터넷이 개인의 실생활에 직접 이용되는 비율이 증가세에 있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주지하다시피 최근 세계 동향을 보면 단지 사용자수가 많다고 해서 인터넷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에 가입만 하고 사용하지 않는다든가, 또는 사용분야가 비생산적이고 소비적인 분야에 집중돼 있다면 문제는 달라진다.

우리가 매달 발표되는 인터넷 관련 통계를 대하면서 느끼는 아쉬움도 사실은 거기에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표되는 인터넷 관련 공식통계는 기껏해야 사용자수나 도메인수의 누적치를 발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보다 구체적인 성비, 계층별, 이용분야별, 사용목적별 통계가 없어 인터넷이 실제로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최근 들어 미국과 캐나다 호주 등이 인터넷 통계를 인구센서스 수준으로 확대 강화하고 있는 것은 앞으로 국가경쟁력이 단순한 인터넷 인구 규모가 아니라 어느 분야에 어떻게 이용되고 있느냐에 따라 결정될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이제는 우리나라도 정확한 통계에 의한 적재적소의 인터넷 보급정책이 필요한 시기가 된 것이다. 그런 점에서 당국은 보다 구체적인 통계치를 통해 인터넷 선진국 진입을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