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용주의 영화읽기> 소나티네

 「하나비」 이후 두번째로 국내 극장에 선보이는 기타노 다케시 감독의 작품. 93년작인 「소나티네」는 다케시가 직접 각본과 감독, 주연과 편집까지 맡아 그의 색채가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는 작품이다. 이미 국내에도 여러 루트를 통해 소개된 기타노 다케시의 영화 중 이른바 「다케시 스타일」의 매력을 가장 대중적으로 느낄 수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다케시가 만든 「그 남자 흉폭하다」 「비등점」에 이은 야쿠자영화 3부작의 완결편으로 평가되는 「소나티네」는 우울하면서도 유쾌하고, 잔인하면서도 순박하다.

 영화가 갖는 이러한 이중적 이미지는 그 스스로가 대중에게는 「비트 다케시」란 코미디언으로, 때로는 「기타노 다케시」란 영화감독으로 활동하는 묘한 이중성을 함께 떠올리게 만든다. 다케시 스스로도 자신의 최고 역작으로 꼽고 있는 「소나티네」는 폭력과 로맨티시즘이 절묘한 하모니를 이루며 극도의 폭력성과 서정성을 아우르는 감독의 독특한 스타일이 단연 돋보인다. 다케시 영화를 집요하게 관통하고 있는 시적 영상미와 폭력의 긴장감, 여백을 만드는 유머, 영화의 감성을 증폭시키는 히사이시 조의 음악은 「소나티네」에서도 여전히 맥을 같이 한다.

 영화의 주배경은 야쿠자들의 생활공간인 도쿄와 그들이 도피하게 되는 오키나와 해변. 무라카와는 무표정한 얼굴로 「사람이 물속에서 얼마나 버틸까」를 궁금해하며 사람을 크레인에 매달아 살해할 정도로 전문적인 킬러다. 강한 포르티시모의 선율과 함께 보여지는 도쿄 야쿠자들의 생활은 너무나 일상적이고 사무적이다. 『이젠 야쿠자 생활을 그만두고 싶다』는 무라카와의 말은 마치 단순하게 반복되는 지루한 직장생활에 대한 샐러리맨들의 푸념처럼 들린다.

 그는 어느날 오키나와에서의 조직간 싸움을 해결하라는 보스의 명을 받고 부하들과 함께 내려온다. 그러나 오키나와에서의 분쟁이 말썽을 빚자 해안가의 집으로 피신하고 이곳에서 부하들과 천진난만한 동심의 세계로 돌아간다. 가벼운 스케르초 선율과 함께 펼쳐지는 야쿠자들의 휴가는 정감어린 순박한 유머가 마음껏 날개를 단다. 「할 일이 없는」 그들은 바닷가에서 스모경기를 하거나 러시안룰렛 경기를 즐기기도 한다.

 그러던 와중에 강간당할 뻔한 여자 마유키가 그들 사이에 끼어들고 조직을 장악하려는 보스의 음모가 시작된다. 킬러에 의해 부하를 잃은 무라카와는 마유키에게 기관총을 주고 야쿠자들의 모임이 있는 호텔로 잠입해 총을 난사한다.

 정통적인 영화문법과 거리를 두면서 간결하고 절제된 무채색의 이미지로 표현되는 기타노의 스타일은 다정하진 않지만 그만의 화법을 변주해내면서 또다른 희비의 세련미를 느끼게 해준다.

 영화평론가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