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ITS산업 현황과 전망 (18);에필로그

 지난 96년 9월 국가ITS구축 기본계획안이 처음 만들어진 이래 2년여 동안 지지부진했던 국가 ITS구축사업이 올들어 서서히 활성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동안 ITS산업 활성화에 대한 의욕부족이란 여론에 몰려왔던 건교부가 ITS산업 활성화 기치를 내걸고 이에 적극 나서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또 지난 4월 ITS코리아가 설립돼 우리나라 ITS산업 발전의 구심점 역할에 나서고 있다. 작년말 이후 ITS산업 활성화를 위해 강력하게 지원해 온 정보통신부의 활약 역시 이 분야 발전 전망을 밝게 하는 요인으로 인정받고 있다.

 ITS기술 발전의 바로미터라 할 수 있는 표준화 작업도 국토연구원과 한국전산원 등의 왕성한 활동으로 주목받고 있다. 도로교통정보협회도 최근 새로운 변신을 꾀하면서 전자교통지도분야 산업발전에 일익을 담당하기 위해 의욕을 내비치고 있다.

 지난 2∼3년간 정부 부처간 몰이해와 무관심속에서 묵묵히 ITS산업의 개화를 기다리며 기술개발에 참여해 온 민간업계의 기대와 희망도 그 어느 때보다 크다.

 이를 반증하듯 최근 대기업 그룹계열사를 중심으로 한 기업들의 ITS사업 참여도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다. 최근 눈에 띄게 ITS관련사업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는 곳은 SK그룹 산하의 SKC&C와 SK다. LG그룹 산하의 LG교통정보·LG산전·LGEDS와 삼성그룹 산하의 삼성전자·삼성SDS의 행보도 주목받고 있다.

 이에 발맞춰 그동안 단순한 교통신호제어 산업용 단위기기 생산차원에 머물렀던 중견 중소업체들도 첨단 네트워크 및 제어기술이 요구되는 다양한 제품 및 기술개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들의 기술개발 방향과 사업성격도 단순한 신호등, 신호제어기, 루프센서 개발·생산에서 벗어나 통신·네트워크·SW·제어·디지털기술 등이 복합된 영상검지기, ETCS개발 쪽으로 바뀌고 있다.

 그러나 최근 정부차원의 ITS산업 지원움직임이 활발해졌다고는 하나 그동안 미흡했던 정책적 지원이 민간업체와 매끄럽게 연계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도 정부 부처내 책임자간의 협의와 조율을 통해 총체적인 ITS구축사업 계획의 재정립과 시행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를 통해 표준화나 기술개발의 국제적 협력 등에 있어서 중심을 세워 산업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

 또 교통체계효율화법에 의한 ITS관련 부문의 규제를 적극적으로 완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도 거론되고 있다. 산업속성상 정보화와 관련한 다양한 통신시설을 도로에 설치해야 하는 점을 고려치 않은 시행령의 모순을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인 것이다.

 일부 부처 자치단체의 관계자 및 전문가들간에 보이지 않게 일어나고 있는 기관 이기주의, 행정 편의주의가 빚는 부작용도 시급히 해소돼야 할 과제중 하나로 꼽힌다. ISO TC204부문의 도로지도나 ETCS 등 몇몇 표준화 연구과정 등에서 드러난 일부 전문가들간의 편의주의·이기주의 그리고 경찰청과 서울특별시가 교통관리체계를 놓고 벌이던 헤게모니 쟁탈전 등은 그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ITS산업 발전을 위한 최대 현안으로 정부가 교통문제 해결과 관련한 이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점을 꼽는 데 주저하지 않고 있다.

 최근 모 경제연구소가 21세기의 핵심 유망산업으로 꼽을 정도로 발전가능성과 잠재력을 보이고 있는 ITS산업의 발전여부는 결국 정부의 정책의지에 달려있다는 얘기다.

 교통전문가들은 보다 실제적인 산업발전을 위한 몇가지 시나리오 가운데 ITS코리아 중심의 적극적인 협력체계를 마련, 정부 각 부처의 적극적인 지원 등을 꼽고 있다. 그리고 그 모델은 미국 교통국의 지원을 받는 ITS아메리카 등에서 찾고 있다.

<이재구기자 jklee@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