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세계는 21세기 고도 정보사회로의 이행이 가속화되어 가면서 전자정보통신산업의 진흥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디스플레이산업은 앞으로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첨단 고도성장산업이면서 우리 산업 여건에도 잘 부합되는 전형적인 전략산업으로 널리 인식되어 가고 있다.
그동안 일본은 일찍부터 이 분야에 눈을 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기업의 막대한 연구 및 설비투자로 지금까지 세계시장에서 독점적인 위치를 확보해 놓고 있다.
우리나라도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관련업계간에 연구조합을 결성하고 부단히 노력한 결과 이제 어느 정도의 기술개발과 생산체제를 갖추게 된 점은 다행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최근 들어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21세기를 대비한 최첨단 평판표시장치 신기술개발에 적극 투자하고 있으며 후발주자인 대만에서도 우리 나라의 뒤를 추격하고 있는 상황속에서 우리 나라의 평판표시장치 산업이 세계시장에서의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이제까지의 사업화를 위한 단기적인 연구개발 투자에서 벗어나 중장기적인 연구개발 투자계획을 수립하여 국내 고유의 기술로서 창출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진행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전자산업이 안고 있는 구조적 문제점, 즉 대량조립생산 체제와 OEM 수출방식이라는 한계를 극복해 나갈 수 있는 핵심부품 및 장비산업의 육성과 함께 우리의 노력 여하에 따라서는 메모리 반도체를 능가하여 세계시장을 석권해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디스플레이산업의 국가 경제적 의의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현재 LCD분야의 경우 일본 등 선진국을 능가하는 기술을 일부 확보하고 있어 향후 우리가 개발할 제품으로는 선진국과 차별화되면서 고부가가치가 가능한 SOD(System On Display), 디지털 HDTV용 TFT LCD 등 차세대 액정표시장치를 개발해야 할 것이며, LCD 이외에도 현재 상품화를 눈앞에 두고 있는 PDP, 산·학·연을 공동협력으로 선행기초연구조사사업을 추진해왔던 유기EL, FED, 3D의 기술도 본격적인 연구개발을 시작할 단계에 있다.
이들 기술간에는 상호 경쟁적인 관계이면서도 상호보완적 요소를 충분히 지니고 있으므로, 체계적인 기술개발 수립과 함께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업계의 지속적인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다.
이같이 정보산업과 전자공업의 가교로서 인간과 기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하는 전자디스플레이 산업은 우리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컴퓨터 사용이 보편화되어감에 따라 매우 중요한 첨단산업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정부 및 산·학·연이 결집된 힘으로 디스플레이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여 상호 협력체제를 유지한다면 앞으로 우리나라의 디스플레이 산업의 앞날은 밝은 해를 볼 것이다.
많이 본 뉴스
-
1
'대세는 슬림' 삼성, 폴드7도 얇게 만든다
-
2
삼성·SK 하이닉스 '모바일 HBM' 패키징 격돌
-
3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4
자체 모델·오픈소스·MS 협력…KT, AI 3트랙 전략 가동
-
5
마이크론 공략 통했다…펨트론, 모듈 검사기 공급
-
6
트럼프, 푸틴과 만남 “매우 곧”..EU 보복관세 계획엔 “그들만 다칠 뿐”
-
7
“브로드컴, 인텔 반도체 설계 사업 인수 검토”
-
8
머스크, 챗GPT 대항마 '그록3' 17일 첫선
-
9
천안시, 총 인구수 70만 달성 코앞…작년 7000여명 증가 5년 만에 최대 유입
-
10
속보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여야 합의로 산자위 소위서 가결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