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1. IMF 체감은 어느 정도인가 1)전혀 체감 않음(5.3%) 2)미미한 정도(34.6%) 3)어느 정도(46.6%) 4)상당한 체감(13.6%)
문2. IMF 탈출정도는 1)전혀 벗어나지 못함(3%) 2)미미한 정도로 벗어남(25.6%) 3)어느 정도 벗어남(46.6%) 4)상당히 벗어남(18.8%) 5)완전히 벗어남(6%)
문3. IMF 탈출했다면 그 요인은 1)내수확대(39.5%) 2)수출증가(18.6%) 3)비용절감(8.5%) 4)금융안정(24.8%) 5)기타(8.6%)
문4. 구조조정은 했는가 1)예(72.9%) 2)아니오(27.1%)
문5. 구조조정 목적은 1)인력감축(27.8%) 2)인력재배치(16.5%) 3)수익성 제고(29.9%) 4)사업재조정(25.8%)
문6. 사업재조정의 성격은 1)주력분야 전환(16%) 2)주력부분 조정(44%) 3)비주력부분 조정(24%) 4)비주력 제거(16%)
문7. IMF 이전과 비교한 인력 증감 정도는 어느 정도인가 1)75% 이하(29.9%) 2)76∼85%(21.6%) 3)86∼100%(25.8%) 4)101% 이상(22.7%)
문8. 구조조정에 대해 평가한다면 1)다소 부정적(4.1%) 2)반 반(16.5% 3)어느 정도 긍정적(55.7%) 4)매우 긍정적(22.7%)
문9. IMF 극복시점은 언제라고 보는가 1)99년 하반기(12%) 2)2000년 상반기(34.6%) 3)2000년 하반기(16.5%) 4)2001년 이후(36.9%)
문1. 내년 내수경기를 전망한다면 1)매우 나빠짐(1.5%) 2)나빠짐(7.5%) 3)올해와 동일(17.3%) 4)좋아짐(73.7%)
문2. 내년 수출경기는 어떻게 보는가 1)나빠짐(12.1%) 2)올해와 동일(32.3%) 3)좋아짐(55.6%)
문1. 구조조정 정책에 대한 평가는 1)부정적(24.8%) 2)보통(18.8%) 3)어느 정도 긍정적(48.1%) 4)매우 긍정적(8.3%)
문2. 국제경쟁력을 위한 정부과제는 1)규제완화(21.1%) 2)금융지원(15%) 3)벤처지원(11.3%) 4)기술개발(36.8%) 5)기타(15.9%)
문3. 벤처지원정책에 대해 평가한다면 1)바람직하지 않음(27.8%) 2)보통(39.1%) 3)바람직(33.1%)
문4. 벤처정책 효과는 무엇인가 1)고용창출(37.6%) 2)경기부양(7.5%) 3)구조조정(8.3%) 4)경쟁력 향상(39.8%) 5)기타(6.9%)
문1. 대외경쟁력의 취약한 부문 1)기술(38.3%) 2)가격(15%) 3)마케팅(18%) 4)법령·제도(12%) 5)기타(16.7%)
문2. 현재 적정 환율은 1)1100원 이하(23.3%) 2)1101∼1200원(51.1%) 3)1201원 이상(23.3%) 4)기타(2.3%)
문1. 상반기 매출액 달성률은 1)75% 이하(12.8%) 2)76∼90%(25.6%) 3)91∼100%(24.1%) 4)101% 이상(37.6%)
문2. 목표달성을 못했다면 이유는 1)마케팅력 부족(7.5%) 2)시장개척 부진(14.9%) 3)시장 위축(38.8%) 4)기타(39%)
문3. 매출 초과달성 이유는 1)품질우세(9.1%) 2)활발한 시장개척(22.7%) 3)시장확대(36.4%) 4)기타(31.8%)
문4. 내년 매출확대 전략은 )수출개척(24.1%) 2)기술투자(10.5%) 3)신제품(28.6%) 4)사업집중(12.8%) 5)기타(24%)
문1. 자금상황은 어떤가 1)나쁨(10.5%) 2)반 반(24.1%) 3)어느 정도 좋음(54.9%) 4)매우 좋음(9.8%) 5)무응답(0.8%)
문2. 상장 고려 여부는 1)있다(51.1%) 2)없다(40.6%) 3)기상장(7.5%) 4)무응답(0.8%)
문3. 운영자금 조달방법은 1)일반은행(63.2%) 2)정부기금(9.8%) 3)사채(3.8%) 4)기타(23.2%)
문1. 새천년 전자·정보통신 환경 변화정도는 1)다소 변화(13.5%) 2)상당히 변화(73.7%) 3)완전히 변화(11.3%) 4)무응답(1.5%)
문2. 변화를 주도하는 기술은 무엇이라고 보는가 1)인터넷(51.1%) 2)소프트웨어(8.3%) 3)멀티미디어(15%) 4)기타(25.6%)
문3. 새천년에 경영 중점 분야는 1)기술(61.7%) 2)경영(6.8%) 3)마케팅(24.1%) 4)수출(6.8%) 5)기타(0.8%)
문4. 새천년을 주도할 분야는 무엇이라 보는가 1)인터넷(23.3%) 2)멀티미디어(9%) 3)위성통신(5.3%) 4)정보통신(15%) 5)기타(47.4%)
문5. 새천년 사업구상 여부 1)있다(88.7%) 2)없다(11.3%)
문6. 사업구상은 어느 단계인가 1)초보 논의(16.9%) 2)아이디어개발(22.9%) 3)계획(38.1%) 4)투자(22%)
문7. 사업구상 형태는 1)임원수준 논의(36.4%) 2)팀 가동(32.2%) 3)전담부서(16.9%) 4)기타(14.5%)
문8. 새천년 진출 희망 분야는 1)인터넷(14.9%) 2)전자상거래(9%) 3)정보통신(4.5%) 4)SW(4.5%) 5)기타(75.2%)
많이 본 뉴스
-
1
'대세는 슬림' 삼성, 폴드7도 얇게 만든다
-
2
삼성·SK 하이닉스 '모바일 HBM' 패키징 격돌
-
3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4
자체 모델·오픈소스·MS 협력…KT, AI 3트랙 전략 가동
-
5
마이크론 공략 통했다…펨트론, 모듈 검사기 공급
-
6
트럼프, 푸틴과 만남 “매우 곧”..EU 보복관세 계획엔 “그들만 다칠 뿐”
-
7
“브로드컴, 인텔 반도체 설계 사업 인수 검토”
-
8
머스크, 챗GPT 대항마 '그록3' 17일 첫선
-
9
천안시, 총 인구수 70만 달성 코앞…작년 7000여명 증가 5년 만에 최대 유입
-
10
속보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여야 합의로 산자위 소위서 가결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