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벤처기업 육성정책이 중소기업청을 비롯해 산업자원부·과학기술부·정보통신부 등 범정부 차원에서 다양하게 펼쳐지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오는 2002년까지 국가 산업정책의 중심을 중소 벤처기업 육성에 두겠다는 방침 아래 창업 인프라의 대대적 확충, 기존 융자 위주의 자금지원을 투자 위주로 전환, 중소기업의 전문화·대형화 유도 등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또 창업보육센터(비즈니스 인큐베이터)를 현재 30개에서 450개로 늘리고 앞으로 3년간 서울 등 7대 도시의 창업 기업수를 10만개 이상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정보통신부도 향후 5년간 2조7000억원을 투입, 총 1000개 이상의 정보통신 벤처기업의 창업을 유도한다는 계획을 수립했으며 과기부는 대덕연구단지내 특정기술분야로 한정된 벤처기업 보육에서 탈피, 모든 기술분야로 확대하고 웹사이트를 이용한 사이버 보육센터를 구축해 이 가상공간에서만 총 500개의 벤처기업을 보육키로 하는 등 기술집약적 벤처기업 보육 종합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관계부처가 설립한 창업보육센터는 이미 중소기업청이 설립한 142개를 비롯해 산업자원부 40개, 정보통신부 40여개, 과학기술부 1개 등 모두 220여개에 달하며 이들 창업보육센터에 1000여개 업체가 입주, 보육되고 있는데 정부의 벤처기업 육성정책에 따라 창업보육센터나 창업보육센터 입주 기업들은 앞으로도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정부의 이같은 벤처기업 육성정책이 창업보육센터 설립과 입주기업의 유치·확대에만 지나치게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은 아닌지 반성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것은 1∼2년의 단기간에 창업보육을 마친 상당수의 벤처기업들이 새 입지를 마련하지 못해 길거리에 나앉게 될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같은 상황은 정부의 벤처기업 육성정책에 따라 지난해부터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한 기업들이 본격 배출되는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는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어서 범정부 차원에서의 「포스트 인큐베이터」 대책이 시급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더욱이 오는 2002년까지 2만개의 벤처기업을 만든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고 보면 「포스트 인큐베이터」 대책은 앞으로 더욱 심각한 문제로 비화할 소지도 있다.
현재 대덕연구단지에는 상당수의 벤처기업들이 보육센터 입주기한의 만료로 독립했거나 독립을 서두르고 있으나 사무실 임대를 비롯, 각종 실험장비나 사무실 집기 마련 등에 필요한 운영자금을 구하지 못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보도다.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들은 1∼2년간 상당한 연구개발비를 투자해 개발한 신제품에 대해 이제부터 본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인데 새로운 보금자리를 마련하지 못해 이로 인한 영업기회 상실 등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며 대책마련을 호소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벤처기업 육성정책이 창업보육센터를 설립하거나 벤처기업 숫자를 늘리는 데 초점을 두었다면 이제는 개발 신제품의 경제성·기술성·시장성 등을 고려해 볼 때 유망하다고 판단된 벤처기업에 대해선 창업보육센터를 졸업한 이후에도 창업까지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제도화해야 할 것이다.
창업보육 과정과 포스트 창업보육 과정을 결합한 정부 차원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 문제와 관련, 관계부처에선 창업보육센터를 졸업하는 벤처기업에 대해 농공단지·아파트형공장·벤처집적시설 등에 입주시켜 문제를 해소할 방침이라고 하지만 아파트형공장·벤처집적시설의 경우 시설이 부족하거나 임대료가 비싸 입주를 꺼리고 있고, 농공단지도 대도시 중심으로 기술교류와 마케팅을 추진해야 하는 벤처기업 특성상 입주를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산문제 등 당장 현실화하는 데 어려운 문제가 있음을 짐작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부가 최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벤처기업 육성정책이 부화장에서 병아리만 양산하는 식이 된다면 이는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일이다.
오피니언 많이 본 뉴스
-
1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2
[ET시론]K콘텐츠 성장과 저작권 존중
-
3
[사설] 보안기능 확인제품 요약서 사안별 의무화 검토해야
-
4
[ET시선] 국회, 전기본 발목잡기 사라져야
-
5
[부음] 김동철(동운아나텍 대표)씨 장모상
-
6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3〉미래를 설계하다:신기술 전망과 혁신을 통한 전략 (상)
-
7
[부음]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씨 장모상
-
8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21〉트렌드 반영한 3C관점 디지털 소통효과 측정해야 낭비 제거
-
9
[IT's 헬스]“중장년 10명 중 9명 OTT 시청”…드라마 정주행 시 조심해야 할 '이 질환'은?
-
10
[GEF 스타트업 이야기] 〈57〉더 나쁜 사람 찾기, 손가락질하기 바쁜 세상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