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특집-메모리> "빅4"의 사업전략.. NEC+히타치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한 시절을 풍미했던 일본 NEC와 히타치사의 D램사업 합병 결정은 97년부터 시작된 세계 D램업계의 자연발생적인 구조조정 작업의 완결판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양사의 통합으로 세계 메모리 반도체 산업은 당분간 세계 1위와 2위를 다투게 될 한국의 삼성전자와 현대전자­LG반도체 합병사, 지난해 텍사스인스트루먼츠(TI)사의 메모리 반도체 부문을 인수한 미 마이크론테크놀로지, 그리고 NEC­히타치 합병사의 빅4 체제를 굳혀가고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 분야의 시장조사업체인 미 IDC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두 업체의 시장점유율은 각각 11%와 6.2%로 각각 4위와 9위. 양사 생산능력을 단순 합할 경우, 세계시장 점유율은 17.2%가 된다.

 이는 세계 1위인 삼성전자, 현대­LG 합병사의 점유율에 버금가는 수치이며 마이크론사의 점유율을 넘어선다.

 물론 이같은 단순 산술적인 분석이 그대로 현실화될 가능성은 많지 않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메모리 반도체 부문의 첨단기술을 보유한 NEC와 히타치사 합병이 예상보다 뛰어난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변수는 합병된 양사가 과연 얼마나 단기간 안에 통합작업을 완성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앞서 TI의 D램라인을 인수한 마이크론이 라인 통합작업에 상당한 기간을 소모하면서 오히려 제품개발력이나 생산성 부문에서 부분적으로 퇴보한 전례에 비추어 통합의 효과가 가시화되기까지는 짧지 않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미 NEC는 히타치와의 D램부문 합병을 발표하기 이전에 한국과 미국 업체에 빼앗긴 D램 시장에서의 자존심을 회복하기 위해 내년 여름까지 400억엔의 거금을 투입해 D램의 생산량을 현재의 2.5배인 월 3000만개 규모(64MD램 환산)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대부분의 일본 업체들이 시장 부진을 이유로 투자를 보류하고 있는 가운데 NEC가 D램 증산에 나선 배경에는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업계 재편과 소수 상위업체에 의한 시장의 과점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이 짙게 깔리고 있다.

 또한 90년대 중반에 접어들면서 한국과 미국 업체에 내준 「세계 제일의 D램 왕국」 타이틀을 되찾기 위한 노림수도 내포돼 있다.

 NEC의 설비증설과 히타치와의 협력 등 일련의 조치는 64MD램보다는 256MD램 이상의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특히 64MD램 가격이 폭락하는 시점에 결정된 NEC의 사업확대 결정은 양사가 가진 연구개발부문을 일원화할 경우, 한국업체와의 경쟁에서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자신감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합병된 NEC와 히타치의 D램부문 사업은 우선 현재의 주력 메모리 제품인 64MD램과 128MD램 원가절감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궁극적으로 양사 협력의 가시적인 시너지 창출은 현대전자와 LG반도체 통합과 마찬가지로 256MD램부터 본격적으로 달성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통합이 단기적으로는 반도체시장의 공급과잉을 해소시켜 D램 가격상승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도 이같은 분석에 기초를 두고 있다.

 하지만 장기적인 측면에서 양사의 합병이 가져올 여파를 점치기는 쉽지 않다.

 기술과 자본 분야에서 월등한 1위를 고수하고 있는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 전문업체로 거듭나는 현대­LG합병사, 막강한 원가 경쟁력으로 무장한 마이크론 등 만만한 경쟁상대가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