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C 국내산하기관 기술위원회 참여 확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산하 국내 간사기관의 기술위원회(TC/SC) 참여폭 확대에 전기·전자부품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술위원회 간사기관의 역할은 국제표준을 정하는 일. 일반적으로 세계 각국의 업체 및 조합·연구소 등이 맡는 간사기관은 자국의 기술이 세계표준에 채택되도록 하는 게 주임무다. 여러 나라가 보다 많은 간사기관을 보유하려는 것은 이같은 이유에서다.

 사실 국제무대에서 한국이 갖는 위상은 상당히 낮은 편이다. 정보통신 분야는 말할 것도 없고 특히 전기·전자부품 분야에서는 더욱 그렇다. 대부분 미국·유럽국가들이 모든 것을 좌우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 확보된 기술력이 부족해서만은 아니다. 전문가들은 미약하나마 일부 분야에서는 세계기준이 될만한 기술이 국내에도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를 세계표준에 밀어넣는 것은 역부족이다. 제국주의시대의 영토싸움을 연상시키는 각종 기술표준 제정작업은 거의 대부분 선진국에서 주도한다. 지지자들을 많이 갖고 있는 까닭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일본 역시 변방에 속한다. 국제 전기전자기술 관련 회의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기술표준원의 한 관계자는 『세계적인 기술을 보유한 일본도 국제회의석 상에서는 지지자를 얻지 못해 나가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고 설명한다.

 국내 간사기관의 TC/SC 참여 확대에 업계가 환영을 표시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우선 해당분야 국제기구에 국내 기술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 간사기관은 총 29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전자부품연구원·전파연구소의 경우 새로 참여했다. 간사기관들이 활동하게 될 TC/SC 역시 178개에서 184개로 늘어났다. 국내 업체들이 강점을 보이는 반도체분야나 전자파분야 등은 물론이고 첨단기술 부문에도 참여할 수 있게 됐다.

 해당분야에서 국내 업체·기관들의 입김이 다소나마 세지는 것도 기대해볼 만하다. 동등한 위치는 아니지만, 특히 아시아권의 맹주인 일본과 공동보조를 맞출 수 있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앉아서 모든 것을 얻을 수 없음은 자명한 일이다. 일선에 선 업체들의 참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얘기다. 이들 업체가 적극적인 기술개발과 의견개진을 통해 간사기관들이 세계회의석 상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든든한 뒷받침이 될 때라야 결실을 맺을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다.

<이일주기자 forextra@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