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프라이스제 시행 첫날 표정

 오픈프라이스제도와 가격표시제 시행 첫날인 지난 1일 일선 가전제품 유통상가는 상인들의 주변 눈치보기와 제도변경에 대한 인지 부족으로 표면상 큰 변화는 찾아볼 수 없었다.

 상인 대부분은 9월 1일 권장소비자가격 표시가 금지되고 실제 판매가격을 표시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내용은 알고 있으나 새롭게 시행되는 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행동 방침을 결정하지 못한 상태거나 시행 초기인 만큼 주위 상황을 살펴 따라가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이 때문에 전국 주요 전자상가의 대다수 매장이 TV, 오디오 등의 제품에 권장소비자가와 할인판매가를 함께 표시한 스티커를 그대로 붙여 놓고 아예 가격표시를 하지 않은 매장도 적지 않았다.

 지난 5월부터 실제판매가 표시를 자체적으로 추진해온 테크노마트 2∼3층 가전매장의 경우에도 9월 1일을 기해 TV·VCR·세탁기·오디오·전화기에 실제판매가를 표시하는 매장이 늘어나는 등의 가시적인 변화는 없었다.

 그러나 이번 조치를 계기로 가격표시제를 근본적으로 정착시킨다는 계획 아래 내부방침 확정에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주요 전자상가의 상인들은 『국세청, 경찰 등을 통한 단속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몰라도 현재 진행되는 구청차원의 단속은 당분간 큰 실효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며 『주위 상인들 대부분이 구청 등에서 뭔가 지시가 내려오면 거기에 맞춰나가면 될 것』이라고 말해 2∼3개월 정도의 과도기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자랜드21이나 하이마트 등 전국적인 직영망을 가지고 있는 유통업체들은 비교적 발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전자랜드21은 이미 전국 지점에 공문을 보내 가격표를 다시 제작해 부착하도록 했으며 하이마트도 매장마다 가격표를 새로 부착하느라 부산한 모습을 보였다.

 한편 LG전자와 삼성전자 등 주요 제조업체의 대리점들은 지난달 중순부터 본사 지침이 하달돼 많은 대리점이 이를 근거로 사전 정비 작업을 거쳐 상당부분 정리돼 있으나 이들 대리점이 관리하는 2차점들은 아직 가격표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가전사 대리점과 2차점들의 오픈프라이스 완전 정착에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심규호기자 khsim@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