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가전제품 매장 "수수료 협상" 매듭 단계

 롯데·현대 등 주요 백화점들이 추진하고 있는 가전매장의 수수료매장 전환이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미도파 상계점에 이어 최근 롯데백화점이 일부 지점의 가전매장을 수수료매장으로 전환하면서 가전사와 수수료율을 6%선으로 잠정합의, 매장운영에 들어갔다. 이같은 수수료율은 당초 백화점측에서 요구하던 8∼10%보다 크게 낮아진 것이다.

 가전사들은 국내 최대 백화점인 롯데백화점과 적정 수수료율에 합의가 이뤄짐에 따라 수수료매장으로 전환하는 타백화점들과의 수수료율 조정작업도 조만간 마무리될 것으로 보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최근 청량리점과 관악점에 대해 매출의 6%를 수수료로 받는 조건으로 가전매장을 가전사에서 운영하도록 했으며, 지난 4월 오픈한 분당점도 9월부터 같은 조건의 수수료매장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가전사들은 수수료매장 전환시 인력을 투입하고 진열 및 유통재고를 확보해야 하는 등 비용부담을 들어 그동안 4%선의 수수료율을 주장, 백화점측 요구와 큰 차이를 보여 조정작업이 답보상태에 있었다.

 한편 국내 3대 메이저 백화점 중의 하나인 현대백화점도 롯데백화점의 가전매장 수수료율이 정해짐에 따라 현재 가전매장의 수수료매장 전환에 따른 수수료율 등 전반적인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가전사들은 현대백화점도 롯데와 비슷한 선에서 수수료율이 결정돼 연내 일부지점 가전매장의 수수료매장 전환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주용기자 jypark@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