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방송 "벼랑끝"에 몰렸다

 2차 지역 민방인 인천방송(대표 이주혁)이 벼랑 끝에 내몰리고 있다.

 방송권역 확대를 통해 돌파구를 찾으려 하고 있으나 좀처럼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으며, 작년 말 제1대 주주인 동양화학이 무의결권 우선주를 발행, 130억원의 자금을 긴급 수혈했으나 조만간 자금이 바닥날 처지에 놓여 있다. 추가적인 자금 지원이 이뤄지지 못하면 도산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이 직원들 사이에 팽배해 있다.

 올 초 제작부문의 분사 계획이 발표되면서 대주주인 동양화학이 인천방송의 경영권을 포기할지도 모른다는 소문이 나돌기도 했으나 현재는 쑥 들어간 상태다. 분사 계획도 직원들의 반발로 무산됐다.

 다행히 최근 방송광고 시장이 회복 기미를 보이면서 광고 판매율이 다소 높아졌으나 전체적인 경영 사정은 크게 나아진 게 없다. 조만간 자금이 바닥나면 외부 주주를 추가로 영입하거나 회사채를 발행, 모기업인 동양화학에서 인수하는 방안 등을 검토해야 할 판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인천방송은 가시청권 확대와 경기지역 민방으로의 전환에 사실상 목숨을 걸다시피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인천방송은 최근 문화부에 가시청권 확대와 「경인방송」(가칭)으로의 전환을 공식 건의한 상태다. 경기도 역시 인천방송의 경인방송 전환에 대해 반대하지 않는다는 의견서를 문화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주변 정황으로 볼 때 경기도측과 인천방송간에 경인방송 설립 추진에 관해 상당 부분 의견이 접근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인방송 설립이 관철되기 위해선 주무부처인 문화부측의 긍정적인 답변이 있어야 하고 감자조치도 이뤄져야 한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특히 현재 530억원인 자본금을 감자하지 않는 한 경기도 지역의 민간 주주를 새로 영입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일단 감자 조치 후 증자하는 방식이 현재로선 현실성 있는 유일한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신규 주주 영입이 성사되더라도 동양화학측이 지금처럼 30%의 지분을 계속 유지할 것인가 아니면 지분을 과감하게 축소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여전히 쟁점으로 남아 있다.

 또한 무엇보다도 현재 중요한 일은 문화부측의 허가를 얻는 것인데, 문화부측이 기존 SBS·MBC·KBS 등 지상파 방송 3사의 견제와 통합 방송법의 국회 처리 일정이라는 정치적인 부담을 무릅쓰고 경인방송의 설립을 허용할 것인지는 낙관하기 어렵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천방송측은 가급적 통합 방송법 처리 이전에 가시청권 확대와 경인방송으로의 전환을 매듭짓겠다는 의도를 갖고 있다.

 특히 방송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인천방송에 대한 반대 여론을 희석시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단 기존 지상파 방송 3사의 우려를 불식하는 게 최우선 과제다.

 현재 지상파 방송 3사는 인천방송이 방송권역을 확대해 관악산에 중계소를 설치할 경우 인천방송이 사실상 SBS에 이어 수도권 민방사로 전환되는 것 아니냐 하는 점을 가장 경계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방송측은 관악산에 중계소를 설치하더라도 이는 경기지역 시청자를 위한 것이지 결코 수도권 시청자를 겨냥한 것은 아니라고 해명하고 있다. 서울로 전파가 월경할 것에 대비해 중계소의 안테나 수와 틸트(Tilt)를 조정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다.

 또 경인방송의 설립을 새로운 민방 사업자의 허가로 보는 시각에 대해서도 『경인방송의 허용은 제2의 민방 사업자를 새로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 제작 인력과 노하우를 이미 확보하고 있는 인천방송을 확대 개편해 경기 지역 도민들이 염원하는 지역 민방사로 전환한다는 의미를 갖는다』고 애써 반박하고 있다. 

 경인지역 민방으로 거듭날 경우 현재 20%선을 밑돌고 있는 광고 판매율도 최소한 25% 이상으로 확대돼 회생의 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천방송의 이같은 회생 방안에도 불구하고 인천방송을 바라보는 외부의 시선이 누그러지지 않고 있다는 데 인천방송의 고민이 있다.

<장길수기자 ksja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