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정보> 고속인터넷 회선서비스

 PCS·셀룰러폰 등 무선통신서비스의 이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일반 전화의 가입자는 오히려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유선전화가 음성통신보다 데이터통신의 용도로 더 많이 쓰여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이미지와 음성·동영상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광대역 서비스 데이터 회선 수요가 늘어갈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여러 가지 이유에서 고속 인터넷 회선의 보급이 지지부진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하나로통신·두루넷 등 신규 사업자가 등장하면서 조금씩 고속인터넷 서비스 이용자가 늘고 있다.

 고속인터넷 서비스 중 가장 대표적인 상품은 종합정보통신망(ISDN). 1회선을 쓸 경우 전화와 인터넷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두 회선을 모두 인터넷에 할당하면 최고 128Kbps의 속도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한국통신과 하나로통신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한국통신의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별도로 인터넷 서비스에 가입해야 한다. 그러나 하나로통신의 경우 서울과 부산·인천·울산 등 대도시 300세대 이상 1162개 아파트단지에만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무조건 원한다고 해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통신의 ISDN은 전국 대도시에 대부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아직 회선이 설치돼 있지 않은 지역이 많으므로 우선 서비스 가능여부를 알아보는 것이 좋다. 전화를 통해 신청하면 전화국에서 실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여부를 알려준다.

 서비스 이용료는 한국통신의 경우 가입비 9만원에 설치비 8000원, 기본료 5000원을 내야 한다. B채널 하나당 각각 일반 전화요금이 부과된다. 하나로통신은 설치비와 보증보험료 10만원을 내야 하고 1채널을 쓸 경우 8000원, 2채널을 쓸 경우 1만1000원의 이용료를 내야 한다. 또 30시간 정액형과 야간 정액형 등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고를 수 있다. ISDN 장비 구입이 부담스러운 이용자는 코세스정보통신 등 ISDN 단말기 임대업체를 통해 장비를 임대할 수도 있다.

 케이블모뎀 서비스는 기존의 케이블TV망을 이용해 고속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서비스다. 이론적으로 최고 10Mbps의 속도를 낼 수 있다지만 많은 이용자들이 대역폭을 나눠 쓰기 때문에 실제로 이같은 속도는 거의 불가능하다. 사업자들은 최소한 256Kbps의 속도는 체감할 수 있다고 말한다.

 케이블모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곳은 두루넷과 하나로통신. 정액제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사용하는 파워유저들에게 안성맞춤인 서비스다.

 하지만 아직 서비스 지역이 제한적이므로 우선 자신이 사는 곳이 서비스 가능 지역인지 알아봐야 한다. 두루넷 서비스에 가입하려면 보증보험료 3만원과 4만원의 설치비를 내야 한다. 또 LAN카드가 없거나 케이블TV에 가입하지 않은 가정은 각각 5만원과 4만원(공동주택은 6만원)을 추가 부담해야 한다. 월 사용료는 3만8000원(부가세 별도)이며 케이블모뎀 임대료는 2년 이상 이용자의 경우 월 1만원, 1년의 경우 1만5000원이다.

 하나로통신의 케이블모뎀 서비스는 가입 설치비와 신용보증금, 임대장비 보증금을 합쳐 6만원을 내야 하고 한달 이용료는 장비임대료를 포함해 4만8000원. 하나로통신 역시 LAN카드가 없거나 케이블TV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추가 부담이 있으며 하반기부터 음성서비스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외에 삼성SDS가 제공하는 디렉PC는 위성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로 이론적으로 최고 400Kbps의 속도로 자료를 다운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 서비스는 정보를 전송할 때 일반전화선을 이용해야 하고 위성안테나의 값이 55만원선으로 비싼 것이 흠이다. 이용자의 작업장소가 고속회선을 설치하기 어려운 곳에 위치하고 있고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내려받야야 하는 경우라면 사용해 볼 만하다. 이용료는 월 5만원.

 하나로통신이 상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ADSL 서비스는 한 회선으로 전화와 인터넷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전송속도도 이론적으로는 최대 8Mbps를 낼 수 있다. 실제로는 최소한 384Kbps의 속도를 보장한다는 게 관계자의 말이다.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최고의 속도를 자랑하지만 이용요금은 가입비 12만원에 월 5만원으로 높은 편이다. 또 시내전화의 경우 별도의 통화요금을 내야 한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LAN카드, 60만원 상당의 ADSL 모뎀이 필요하다.

<장윤옥기자 yojang@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