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반도체 조업중단 장기화 조짐

 LG반도체 청주공장에 이어 지난 25일 구미공장의 생산라인 가동이 전면 중단됨으로써 반도체 빅딜로 인한 LG반도체의 조업중단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우선 코앞에 닥친 문제는 조업중단 장기화에 따르는 피해액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미 3일째 진행되고 조업중단으로 LG반도체의 매출 피해는 무려 3백억∼4백억원에 이르고 있다.

 여기에 이미 상당수 직원들이 집단 휴가라는 방법으로 이달 말까지 출근을 거부하는 사태가 계속된다면 피해액은 1천억원 이상이 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에 따라 예정대로라면 이미 마무리단계에 접어들었어야 할 현대전자와 LG반도체의 주식 양수도 협상은 뒷전으로 밀리고 있어 양사간 합병이 상당기간 지연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전혀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LG반도체 비상대책위원회 측이 제시하고 있는 「5∼7년 고용보장」과 「위로금」 요구가 단순히 LG 노사간 협상만으로 풀어낼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점에서 조업중단 사태의 조기 진화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진단이다.

 즉 전격적으로 노사합의를 이뤄내더라도 현대전자 측과 양수도 협상과정에서 이 합의가 수용될 가능성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때문에 LG 경영진 측은 비대위 측의 「조업중단」이라는 강경 조치에도 불구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직원들과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LG반도체의 한 관계자는 『현재 상황에서 비대위의 요구사항에 대해 어떤 결정을 내려줄 수 있는 형편이 아니다』면서 『비대위 측이 요구사항을 현실화하거나 현대전자 측이 고용 보장 요구를 전향적으로 수용해 주기를 기대하고 있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현대전자 역시 LG반도체 내부적인 문제에 직접 나설 입장이 아니라는 원칙론에서 한발짝도 물러서지 않고 있다.

 LG반도체와 비대위, 그리고 현대전자 등 3자간의 얽히고 설킨 실타래를 풀어낼 묘안이 없는 한 반도체 빅딜 과정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재의 파국은 더욱 길어질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최승철기자 scchoi@etnews.co.kr>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