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세화인터넷 "이동통신 사용 환경" 설문조사

전자신문사가 인터넷 리서치 전문업체인 세화인터넷의 협조를 얻어 지난달 14일부터 24일까지 실시한 인터넷을 통한 네티즌 이동통신 사용환경 설문조사는 몇가지 주목할 만한 결과가 도출돼 관련 업계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10대에서 50대에 이르는 전국의 네티즌 3천6백명(중복 응답자 제외)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설문 결과의 가장 큰 특징은 PCS에 대한 선호도 증가와 후발주자인 한솔PCS의 기업 인지도 확산이다.

단말기 선택기준이 가격위주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일반 통념을 깨고 「디자인 및 색상」을 최우선 순위에 둔다는 결과가 나온 점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또 남에게 추천하고 싶은 서비스를 묻는 항목에서 기존 휴대폰 사용자들이 PCS보다는 휴대폰을 권유하겠다는 응답이 많아 미묘한 해석을 낳고 있다.

특히 이번 설문 응답자의 68%가 회사원이라는 사실과 이들이 모두 인터넷을 사용하며 휴대폰과 PCS의 기술적 차이를 이해한다는 점에서 일반 소비자들에 대한 여론 전파력이 상당할 것으로 추정돼 국내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의 판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해 주고 있다.

전체 응답자 가운데 현재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은 34%이고 PCS 가입자는 4%로 나타났다. 이동통신 미가입자의 비율은 62%.

네티즌들은 인터넷을 활용하는 사람들답게 PCS와 휴대폰의 기술적 차이를 「정확히」, 혹은 「대강 알고 있다」가 각각 42%와 51%로 조사됐다. 일반인들이 양쪽의 차이점을 거의 모른 채 헷갈리고 있는 것이 현실인 만큼 네티즌들의 이동통신 이해도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사용 만족도의 경우 「전국 통화 가능」 「서비스 검증도 확보」 등 기존 사업자의 기득권을 확보하고 있는 휴대폰 사용자들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휴대폰 사용자들은 「매우 만족」이 28%, 「약간 만족」이 46%로 현재의 서비스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PCS 사용자들도 휴대폰엔 뒤지지만 「약간 만족」을 포함, 전체의 68%가 만족한다고 대답해 초기 단계치고는 호응이 높은 편이었다.

휴대폰과 PCS 가입자들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가장 큰 불만사항은 「비싼 사용요금(43%)」으로 나타나 역시 「돈 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했고 「통화 끊김 현상」과 「통화 지역 제외」는 각각 31%와 22%로 조사됐다.

흥미로운 것은 현재 각 사업자들이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이동통신 요금 할인상품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42%)」 「대강 알고 있다(50%)」 등 읍답자의 90% 이상이 관심을 갖고 있지만 정작 이를 실제로 이용한다는 응답은 47%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바쁘거나 귀찮아서 요금절약에 적극적이지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비스 미가입자들이 앞으로 선택하고 싶은 이동통신은 절대 다수인 82%가 PCS라고 밝혔고 휴대폰은 18%였다. 이같은 수치는 PCS가 최근 상용 서비스에 돌입하면서 기지국 미흡, 단말기 부족 등으로 비판을 받고 있지만 여전히 엄청난 잠재고객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 PCS 돌풍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PCS 3사의 대대적인 광고 홍보 물량 공세가 소비자들에게 어는 정도 어필한 것도 요인 중의 하나로 풀이된다.

실제로 가장 기억에 남는 광고를 한 업체로 한솔PCS가 44%를 획득, 1위를 차지했고 한국통신프리텔이 10%로 2위인 SK텔레콤(37%)에 이어 3위에 랭크됐다. 이에 반해 이동통신하면 떠오르는 기업을 묻는 항목에서는 SK텔레콤이 75%를 기록, 그동안의 저력을 과시했고 뒤를 이어 한솔PCS(10%), 한국통신프리텔(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 사용자들이 주위에 추천하고 싶은 서비스에서는 재미있는 결과가 나왔다. 가입 희망자들이 압도적으로 PCS를 선택한 것과는 달리 휴대폰을 권고하겠다는 응답이 56%로 44%인 PCS를 눌렀다. 그간 시장에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한 휴대폰의 사용 친화력이 예상외로 강한 것으로 분석된다.

기술적 차이를 무시한 채 서비스 가입시 우선 고려사항은 「저렴한 사용 요금」이 74%로 나타나 경제성을 가장 중요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외에 「부가서비스 내용」은 15%였고 특히 「기업 이미지」라고 응답한 비율도 7%로 세번째 자리를 차지, 광고 홍보의 영향력을 실감케 하고 있다.

단말기 선택은 주위의 입소문 혹은 가격을 가장 중시할 것이라는 일반의 예상을 깨고 「디자인 및 색상」이 39%로 나타나 36%의 「가격」을 제쳤다. 여기서도 제조업체 이미지를 보고 고르겠다는 응답이 17%나 됐다.

이런 결과는 성능이 비슷하다면 가격보다는 마음에 드는 디자인과 색상을 우선하는 신세대적인 소비패턴이 의외로 확산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소비자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단 제품으로 바라보면서도 동시에 패션의 일부분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이택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