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득창 현대정보기술 기술자문
전자도서관이란 도서관에 축척된 정보 도서관이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및 상업적 정보자원 등을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원격으로 접근하고 정보의 전송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정보통신을 이용한 가상도서관으로서 벽이 없는 도서관, 네트웍도서관이라고도 불리우는 이 시스템은 모든 국민이 원하는 자료를 쉽고 바르게 얻을 수 있도록 자료 공유시스템을 구축하고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이용해 정보검색을 하는 방식을 취한다.
따라서 전자도서관, 즉 디지털 라이브러리는 전통적인 정보이용 방법에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도입한 선진형 정보서비스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이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요소기술로는 사업참여 기관간 각종 DB검색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Z 39.50」, 그리고 전자도서관 구축을 위한 텍스트데이터가 있으며 기본포맷으로 SGML,인터넷 서비스 관련 프로그램 및 표준 데이터 포맷인 SGML변환기, 이미지데이터의 검색을 위한 이미지 뷰어, 논리 연산자료에 의한 다양한 정보검색 서비스를 위한 정보검색 엔진, 분산된 자료 및 시스템을 위한 시스템 모니터링 기술들이 꼽히고 있다.
전자도서관 시스템이 구축되면 각종 자료의 중복관리에 따른 국가적 예산낭비가 해소되고 인터넷을 통한 24시간 논스톱 서비스로 정보자료 활용의 극대화를 이룰 수 있으며 학술연구 및 생산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개발에 필요한 모든 기술이 국제표준을 준수함으로써 국가표준을 유도하여 전자도서관의 표준모델을 제시할 수 있게 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SW 많이 본 뉴스
-
1
차세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 ISMP 사업, 삼성SDS 컨소시엄 수주
-
2
라히리 오라클 부사장 “오라클, 기업 AI 워크로드 지원에 있어 독보적”
-
3
오픈AI, GPT-5부터 일반·추론 통합한 AI 모델 제공
-
4
“한 번 당하고도 또”…개인정보 유출 '해피포인트 운영사'에 과징금 14억
-
5
베스핀글로벌, AI 데이터 혁신 세미나 개최
-
6
삼성SDS 컨소, 차세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 ISMP 수주…본사업 경쟁 귀추 주목
-
7
인성정보, 사상 첫 내부 출신 조승필 대표이사 선임
-
8
경기도, '인공지능 5개년 종합계획' 수립 착수
-
9
자체 모델·오픈소스·MS 협력…KT, AI 3트랙 전략 가동
-
10
서울시, 시민메일 도용한 공무원 사칭 해킹 메일 주의보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