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Kbps 초고속 팩스모뎀 산업표준 주도권 경쟁 치열

전화선을 이용한 초고속 디지털통신에 대한 국제규격이 아직 확정되지 않은 가운데 주요 칩세트 공급사들과 모뎀 생산업체들이 제품 양산에 나섬에 따라 팩스모뎀 산업표준을 장악하기 위한 주도권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US로보틱스, 록웰 등 세계 팩스모뎀시장의 양대 메이커가 지난주부터 56 고속모뎀 칩세트와 팩스모뎀 양산모델을 잇따라 발표함에 따라 국내 고속 팩스모뎀시장에서도 주도권 경쟁이 전개되고 있다.

US로보틱스 국내 총판인 대승통신(대표 김명식)은 11일 「x2」란 코드명의 56 고속 팩스모뎀을 전격 발표하고 늦어도 다음달 중순에는 형식승인 절차를 마쳐 국내에 대량 시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사는 지난해말부터 33.6 팩스모뎀 구입자에게 56 팩스모뎀으로 무상 교환해주는 업그레이드 쿠퐁을 제공하는 등 소비자를 겨냥한 대대적인 판촉전도 벌이고 있다.

대승통신은 서비스 제공자들의 서버용 모뎀시장을 장악하기 위해 넥스텔, 제이씨현시스템 등 고객들에 대한 지원체계를 강화한 상태이며 데이콤, 삼성데이타시스템 등 대규모 정보제공자(ISP)를 신규고객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막후 교섭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록웰의 국내 지사인 락웰코리아(대표 박덕준)는 「K56플러스」란 코드명의 56 팩스모뎀용 칩세트를 지난 5일 공식 발표했다.

록웰은 이미 지난 1월부터 삼성, 삼보, 현대, 대우 등 주요 OEM업체들과 한솔, 가산, 자네트, 맥, 서한 등 20여 팩스모뎀 생산업체들에 샘플 칩세트를 공급, 다음달 중순부터는 10여 업체가 K56플러스를 탑재한 모뎀을 양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락웰코리아는 56 팩스모뎀이 제조사간에 서로 호환되지 않아 PC통신서비스 업체가 어떤 제품을 호스트용 모뎀으로 선택하느냐가 사실상 시장 성패를 좌우한다고 판단, 한국PC통신, 삼성데이타시스템, 나우콤, 현대정보기술 등 기존 ISP에 대한 지원 서비스를 대폭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전문가들은 『33.6 팩스모뎀부터 기술발전이 급진전돼 ITU가 미처 국제표준을 제정하기도 전에 기업체들이 자체 규격에 따른 고성능 제품을 양산하게 됐다』며 『ITU 국제규격이 보통 2~3년 걸려 제정되는 점을 감안하면 세계 표준규격에 따른 56 팩스모뎀은 빨라야 내년말에나 등장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최소한 1년이상 표준경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남일희 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