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산업이 다가오는 21세기의 유망산업 가운데 하나로 떠오르면서 지난 수년간 2차전지 사업에의 참여를 모색해 온 업체들의 수가 무려 30개사를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로케트전기, 서통 등 전지 전문업체와 태일정밀, 한일정보통신 등 소수의 업체만이 2차전지 사업을 가시화하고 있고 이 가운데 로케트전기만이 니켈수소전지를 이제 막 생산하기 시작했을 뿐 삼성, LG, 대우를 포함한 대부분의 업체는 아직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조만간에 이들 업체의 대부분이 2차전지 사업에의 진출을 포기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국내 업체들이 상당히 오랜기간 2차전지 사업에 진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성과가 극히 미미한 가장 큰 이유는 물론 미국이나 일본 등 전지 선진국들이 기술이전을 극히 꺼리고 있다는 것이다. 기반기술이 취약한 국내 전지업계 사정상 외국으로부터 기술 및 양산설비를 들여오지 않고서는 2차전지 사업을 시작하기가 힘든 것이 사실이고 특히 현재 세계 전지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일본 업체들이 첨단기술을 국내에 이전하기를 극히 꺼리고 있는 것 역시 사실이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국내 기업들이 너무 조급한 마음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국내 업체들이 장기적인 기술축적 보다는 니켈수소, 리튬이온, 리튬이온폴리머전지 등 현재 상품화가 돼 있거나 상품화가 추진되고 있는 제품 가운데 기술 및 양산설비 도입이 가능한 제품을 찾고 있으면서도 향후의 시장성 및 발전가능성이 가장 높은 제품에 대한 욕심을 버리지 못해 너무 많은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몇몇 대기업들은 처음에는 리튬이온이나 리튬폴리머전지에 관심을 보이다 기술도입에 어려움을 겪자 니켈수소전지로 방향을 전환했다가 최근 들어 국내 2차전지 시장에서 니켈수소전지보다는 리튬이온전지가 인기를 끌고 있는 듯한 양상이 보이자 또다시 계획을 수정, 리튬이온이나 리튬폴리머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등 잦은 계획변경으로 사업추진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이와 관련, 최근 일본 전지업체로부터 니켈수소전지 기술 및 양산설비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업체의 한 관계자는 『최근 니켈수소전지 기술도입 계약을 위한 막바지 협상을 벌이고 있으나 니켈수소전지의 향후 시장성이 별로 크지 않을 것으로 보여 망설이고 있다』라고 밝히고 『니켈수소전지 기술 및 양산설비 도입 계약을 진행하면서 리튬이온전지 기술도 이전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일언지하에 거절당했다』라고 털어놓았다.
결국 국내 기업들은 기술이전을 꺼리는 외부의 견제와 한 곳에 집중적으로 투자를 못하고 있는 이중의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고서는 2차전지 사업진출에 성공하기가 힘들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전지기술은 한꺼번에 도약하기가 힘들고 단계를 밟아야만 발전할 수 있으며 개발보다는 양산기술이 보다 큰 노하우가 되고 있는 만큼 현실적으로 가능한 종류부터 사업을 시작하고 제품을 직접 생산하면서 차츰 보다 첨단의 제품으로 영역을 확대해가는 것이 세계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길』이라고 지적한다.
국내 2차전지 분야의 권위자로 꼽히는 K박사도 『국내업체들이 한 분야에만 집중해도 현재 세계시장을 석권하고 있는 일본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이기기 힘든 상황임에도 당장의 이익을 위해 2차전지 사업을 추진하는 등 조기에 성패를 가름하려는 성급함을 보이고 있다』라며 『국내 전지기술이 낙후돼 있는 만큼 적어도 10년 이상을 내다보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기술축적에 주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순기 기자〉
많이 본 뉴스
-
1
'대세는 슬림' 삼성, 폴드7도 얇게 만든다
-
2
삼성·SK 하이닉스 '모바일 HBM' 패키징 격돌
-
3
[ET톡] 퓨리오사AI와 韓 시스템 반도체
-
4
자체 모델·오픈소스·MS 협력…KT, AI 3트랙 전략 가동
-
5
마이크론 공략 통했다…펨트론, 모듈 검사기 공급
-
6
트럼프, 푸틴과 만남 “매우 곧”..EU 보복관세 계획엔 “그들만 다칠 뿐”
-
7
“브로드컴, 인텔 반도체 설계 사업 인수 검토”
-
8
머스크, 챗GPT 대항마 '그록3' 17일 첫선
-
9
천안시, 총 인구수 70만 달성 코앞…작년 7000여명 증가 5년 만에 최대 유입
-
10
속보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여야 합의로 산자위 소위서 가결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