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21C 첨단기술 (9);고정식 레이저스캐너 동향

바코드 유통부문에 적용돼온 바코드시스템이 공장자동화와 기업들의 물류자동화에 필수적인 요소로 등장하고 있다.

고정형 레이저스캐너는 제품의 생산공정·물류분리·제품검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첨단기기로 비용을 최소화하고 에러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레이저기술과 고체촬상소자(CCD) 등의 화상처리기술은빠른 처리능력, 정확성, 대량정보수집 등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고정형 스캐너는 대부분 컨베이어벨트의 윗부분에 장착돼 제품이 컨베이어벨트를 이동할 때 대상물을 스캐닝하는 원리이며 서버 등과 연결돼 생산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들어서는 가격이 낮아지고 크기도 기존 제품보다 25%이상 작아진 소형 레이저스캐너가 속속 개발되면서 어느 방향에서나 스캔할 수 있는 제품이개발되는 등 다양해지고 있다.

또 기존에 바코드프린터에 주로 의존했던 고정형 스캐너의 기능에 부분적인 스캔만으로도 디코딩 작업을 가능케 하는 정밀한 신호처리기술을 도입하고 있다. 손상되었거나 뒤틀린 바코드도 판독이 가능하게 하고 모든 방향에서 스캔이 가능한 스캐너는 X자형을 가진 하나 이상의 스캔패턴만 있으면 데이터 복원기술과 결합해 전방향에서 바코드를 스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고정형 레이저바코드스캐너는 바코드 데이터의 판독과 디코딩작업 이외에도 보드에 내장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동일한 레이블이 새겨진 다층 패키지를추적하기 때문에 패키지간의 공간을 최대 5㎝까지 줄일 수 있다. 기술적으로스캐닝기술은 QR(Quick Response), JIT(Just In Time), EC(Electronic Commerce) 등을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최근 들어 미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도입되고 있는 2차원 바코드기술은 2차원 심볼데이터가 수천개의 문자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패키지의 내용물에대한 정보와 물류시스템을 통해 상세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는 혁신기술이다.

2차원 바코드심벌은 CCD카메라와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면 판독이 가능한데 현재까지 CCD카메라는 분속 10로 이동하는 컨베이어상에서 최대 1백문자를 포함하는 멕시코드를 판독할 수 있으며 PDF417과 같은 선형바코드도 판독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미국에서는 현재 최대 폭 90㎝, 높이 30∼37㎝의 고정형 레이저스캐너를개발 컨베이어벨트나 우체국의 소포 등 우편물 분류, 주문확인을 위한 매트릭스 스캐닝 시스템 등에 적용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현암엔지니어링 등이소형 고정형 레이저스캐너를 개발, 자동차업체 등에 공급하고 있다.

〈정창훈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