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티엄 계열 서버가 중대형 컴퓨터 시장에서 큰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현재 펜티엄 프로세서를 채택한 제품은 퍼스널 워크스테이션·PC서버·윈도NT서버·유닉스 서버·상용 초병렬처리 컴퓨터(MPP)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원래 펜티엄 계열 프로세서를 채택한 서버는 PC서버나 퍼스널 워크스테이션 정도에 국한됐으나 최근들어 중형 이상의 서버와 상용 MPP시스템까지 확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사실 펜티엄 프로세서가 중대형 컴퓨터에 대거 장착되기 이전까지는 HP의「PARISC」, 디지탈의 「알파」, 썬의 「스파크」, IBM 모토로라 애플 진영의 「파워PC」, 밉스의 「R시리즈」 등이 치열한 경합을 벌여왔다.
특히 중대형 컴퓨터 분야에서는 RISC 계열 프로세서를 채택하는게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펜티엄 프로세서가 위세를 떨치면서 CISC 계열 프로세서가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다.
현재 펜티엄 계열 서버 시장에 진출한 업체는 시퀀트·인터그래프·유니시스·NCR·컴팩·스트라투스·데이터제너럴·에이서 등이다.
이들 업체들은 그동안 대형 컴퓨터 시장이나 중형 서버 시장에서 IBM·HP·썬 등에 비해 부진했으나 펜티엄 계열 서버시장 진출을 계기로 열세를 만회해 보겠다는 전략을 갖고 있다.
컴팩·에이서 등은 그동안 PC사업만 추진해오다 점차 상위 시스템까지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펜티엄 계열의 PC서버 공급을 통해 종전에 PC와 중대형컴퓨터 사이에 그어졌던 경계선을 무너뜨리겠다는 것.
국산 중대형 컴퓨터 공급업체들도 이같은 추세에 발맞춰 앞으로는 펜티엄프로세서를 자사의 시스템에 기본으로 장착하게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모토로라의 88K 계열 프로세서를 채택했던 국산 주전산기 업체들이국산 주전산기Ⅲ 기종부터 펜티엄 계열 프로세서로 전환해 출시할 계획이며ETRI가 주축이 되어 추진하고 있는 국산 주전산기Ⅳ 역시 인텔의 「펜티엄프로」와 「P7」 프로세서를 채택할 계획이다.
또 통상산업부가 국책과제로 개발하고 있는 대형 컴퓨터(MPP)시스템 역시인텔의 펜티엄 프로세서를 장착할 예정이다.
이같은 펜티엄 프로세서 장착 열기는 인텔이 추진중인 SHV(Standard HighVolume)보드 공급 전략으로 더욱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SHV 보드란 여러개의 펜티엄 프로세서를 결합, 서버에 적합하도록 설계한 보드. 따라서 앞으로는 서버 업체들이 인텔로부터 SHV 보드를 공급받아 운영체제와 아키텍쳐를결합,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인텔과 HP의 전략적인 제휴도 펜티엄 계열 서버의 세력 확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인텔과 HP는 현재의 펜티엄 프로세서와 HP의 PARISC 프로세서의 기술을 결합, 새로운 프로세서를 98년경부터 상용화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들 펜티엄 계열 서버가 어느 정도 시장을 확대해 나갈지는 아직미지수다. 현재 중대형 컴퓨터 분야에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분야가 유닉스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대형 컴퓨터 분야에서 벌어지고 있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경쟁이과연 어떻게 결론이 날지는 현재로선 불투명하다. 단지 펜티엄 계열 서버 진영에 합류하는 기업들이 점차 늘고 있다는 사실은 중대형 컴퓨터시장 전반에상당한 변화를 몰고 올 것이라는 것을 충분히 예측케 해주고 있다.
<장길수기자>
SW 많이 본 뉴스
-
1
차세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 ISMP 사업, 삼성SDS 컨소시엄 수주
-
2
라히리 오라클 부사장 “오라클, 기업 AI 워크로드 지원에 있어 독보적”
-
3
오픈AI, GPT-5부터 일반·추론 통합한 AI 모델 제공
-
4
“한 번 당하고도 또”…개인정보 유출 '해피포인트 운영사'에 과징금 14억
-
5
베스핀글로벌, AI 데이터 혁신 세미나 개최
-
6
삼성SDS 컨소, 차세대 지방행정공통시스템 ISMP 수주…본사업 경쟁 귀추 주목
-
7
인성정보, 사상 첫 내부 출신 조승필 대표이사 선임
-
8
경기도, '인공지능 5개년 종합계획' 수립 착수
-
9
자체 모델·오픈소스·MS 협력…KT, AI 3트랙 전략 가동
-
10
서울시, 시민메일 도용한 공무원 사칭 해킹 메일 주의보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