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판 "조정관세" 보호막 사라졌다

대만산 주기판의 대량유입에 따른 국내 주기판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위해 부과돼온 조정관세 부과기간이 지난해말 종료됨에 따라 국내 주기판산업발전을 위한 특별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17일 한국전자공업진흥회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92년부터 적용돼온대만산 주기판에 대한 조정관세 부과기간이 지난해말로 끝나 국내 주기판업계는 앞으로 정부의 정책적 지원없이 대만업체와 무한경쟁을 벌여야 할 것으로전망되고 있다.

15%에 달하는 조정관세가 부과됨에도 불구, 지난해 5~6개 업체가 도산하거나 업종전환하는 등 대만산에 비해 취약한 경쟁력을 보여온 국내 주기판산업은 조정관세라는 보호장치마저 없어짐에 따라 나머지 4~5개 주기판업체들도조업단축 내지 업종전환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기판업계 전문가들은 "현재 국내에서 주기판을 주업으로 생산, 판매하고있는 업체는 석정전자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고 분석하고 있다.

주기판업계는 "개방화시대에 조정관세와 같은 정책지원을 기대할 수 없으나수출지원.기술개발등 정부정책자금이 주기판업계에 우선적으로 배정되거나국내 반도체업체와 협력을 통한 자체 경쟁력 확보 유도 등 정부 당국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전자공업진흥회는 이같은 국내 주기판업계의 요구를 반영해 19일컴퓨터산업위원회 산하 주기판분과위원회를 개최해 업계의 애로사항을 청취,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이희영기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