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막오른 "윈도즈95"시대

차세대 32비트 운용체계(OS)인 "윈도즈95"가 마침내 미국에서 공식발표됐다. 이는 16비트 OS로 제어되던 64비트및 32비트 PC가 32비트 OS와 결합돼 제기능을 수행하게 됐을 뿐만 아니라 "윈도즈95"가 차세대 PC환경을 지배할 것이 거의 확실하다는 점에서 이의 등장은 세계컴퓨터산업 환경에 엄청난 지각변동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발표예정일을 2년 가까이 연기하면서 숱한 화제를 뿌렸던 "윈도즈95"가 주목받는 이유는 기존 제품에서 구현하기 어려웠던 여러가지 특징적 기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그 첫번째가 DOS 없이도 PC를 바로 GUI 상태로 부팅시 켜주는 획기적인 사용자환경을 들 수 있다. 두번째는 주변기기나 다른 하드웨어 접속시 더 이상 사용자의 수동작업이 필요치 않는 "플러그 앤드 플레이 (PnP)"규격을 지원하고 있다는 점이다. 세번째는 데스크톱 환경에서 인터네트나 온라인서비스 환경에 자동접속해주는 마이크로소프트네트워크(msn)를 기본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SW 제공이라는 차원을 넘어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통합시켜 준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것으로 평가받기에 충분 하다. 이같은 특징에도 불구하고 "윈도즈95"가 기대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는지적도 받고있다. 주요외신은 "윈도즈95"의 대표적인 단점이 "DOS"와 윈도즈3.X 용으로 개발된 응용프로그램 가운데 일부를 실행시키지 못하고 있다는점을 지적하고 있다. 게다가 컴퓨터바이러스에 대한 대책도 미흡하다고 한다. 이같은 문제점으로 "윈도즈95"는 예상만큼 인기를 끌지못할 것이라는 일부의견도 있다.

그러나 "윈도즈95"는 자체적으로 지니고 있는 독특한 특징 뿐 아니라 현재세계시장에서 상당한 위력을 발휘하고있는 "MS-DOS" "윈도즈3.1" "윈도즈 포워크그룹 등의 실질적인 계승자라는 위치때문에 세계컴퓨팅 환경을 계속 손쉽게 지배해갈 것만은 틀림없다.

따라서 국내컴퓨터및 주변기기、 응용SW 등 "윈도즈95"의 직접적인 영향권 내에 드는 업계는 여기에 충분한 대비책을 조속히 세워야만 할 것이다. 윈도즈95 의 본격 등장으로 예상해볼 수 있는 파장은 주변기기나 멀티미디어기 기의 신규수요 확대가 기대되고 있을 뿐 아니라 386및 486SX급 구형PC에 대한 업그레이드 수요도 폭발적으로 늘어나 PC업계에 또다른 활력소를 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윈도즈95" 자체실행에는 기본메모리가 4MB에서 8MB이상으 로 확대되는 등 엄청난 하드웨어 자원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반도체회사들의 호황도 예상되고있다.

반면 PC통신업체들은 "윈도즈95"의 "msn"기능으로 위상이 크게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 이 기능을 채용한 "윈도즈95"의 판매량에 비례해 앞으로 PC통 신업체들의 사업영역을 무섭게 침투해갈 것이 쉽게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운영SW업체들의입지도 변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즈9 5"를 수익사업으로 삼지않고 컴퓨터산업환경을 주도하기 위한 전략무기로 삼고 있으며 실제수익은 "오피스95" 등 응용SW에서 찾으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윈도즈95"는 기업간 시장쟁탈전 양상을 넘어서 기업의 흥망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엄청난 존재인 것이다.

이상을 종합해볼 때 "윈도즈95"를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우선"윈도즈95"가 차세대PC환경을 주도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는 점을 직시하고 이에 서둘러 대응해야만 한다. 두번째는 경쟁의식을 가질 필요가 없다. OS개발에는 수십억달러의 돈과 인력을 필요로하지만 세계 컴퓨터업계의 지원을 받아야만 승자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윈도즈95" 등장에 대응하는 유력한 방법은 SW 개발사들과 주변기기업체들은 "윈도즈95"를 활용할 수 있고 확실한 성능을 가진 제품 개발을 서둘러야만 한다. 미마이크로소프트는 세계적인 응용SW업체들에게 "윈도즈95 "에 대한 상당한 기술정보를 이미 제공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반면 세계시장에서 미미한 존재여서 주요고객리스트에 들지못한 국내업체들은 정보 부족으로 구체적인 대응노력을 기울이지 못했던 것이 현실이다. 외국의 응용 SW업체들과 주변기기업체들이 국내에 침투하기 전에 구체적인 대책이 나와야할 것이다.

이와함께 사용자들도 컴퓨터환경변화를 예의주시해야만 할 것이다. 윈도즈95 가 발표됐다고해서 국내사용자들은 당장 이를 피부로 느낄 것 같지않다. 한글판 제품이 아직 등장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에서 "윈도즈9 5"의 발표영향을 받는 시기는 한글판 제품이 본격 등장할 금년말로 예상된 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이때까지 기다리기 보다 "윈도즈95"의 등장으로 컴퓨터환경이 급변할 것으로 쉽게 예상할 수 있는 만큼 새로운 흐름에 뒤처지지않기 위한 노력을 지금부터라도 기울여야만 한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