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채널에 처음으로 가입하는 사용자가 그 채널의 오퍼레이터(OP)가 되는데 채널 관리의 권한과 책임을 동시에 가진다. 즉 다른 사용자들에게 OP의권한을 줄 수도 있고 빼앗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들을 쫓아내거나 대화를 못하게 할 수도 있다. 채널 관리를 소홀히 하면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그 채널 을 떠나게 되고 결국 실패하고 말기 때문이다.
OP만이 /MODE 명령을 이용하여 "iklmnps-tov"등의 모드를 정할 수 있는데, 각 문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i:기존 가입자의 초대를 받아야 그 채널에 가입할 수 있다. (invite only) +k
(private) s NAMES나 /LIST를 해도 나타나지 않으며, 이 채널안의 사용자들은 /LUSER S 명령의 사용자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secret) +t:OP만이 /TOPIC 명령으로 채널의 제목을 바꿀 수 있다. (topic limits)여 기서 "+"는 설정을, "-"는 해제를 의미하며, "+p"와 "+s"를 동시에 지정할수는 없다. 예를 들어 "/MODE #abc +instlk 30 pass"로 채널 #abc의 모드를 정하면 초대받은 사용자만 가입 허용(+i), 외부로부터의 메시지 금지(+n), 비밀 채널(+s), OP만이 제목 변경(+t), 최대 가입자를 30명으로 제한(+l30), 가입시 "/JOIN #abc pass"를 입력할 경우에만 가입을 허용(+k pass)함을 의미한다. MODE 명령에서 #abc와 같은 채널 이름 대신 현재의 채널을 의미하는 "*" 를 사용할 수 있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stn" 또는 "+tn"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른 사용자에게 OP권한을 주려면 "/MODE #abc +o MyFriend"와 같이 한다.
채널을 가로챌 속셈(전복, takeover)으로 OP가 되기를 원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믿을만한(?) 사람만 "+o"해주어야 한다.
특정 사용자 또는 특정 사이트의 사용자들을 채널에 가입하지 못하도록 하려면 "/MODE #abc +b BadGuy", "/MODE #abc +b *!user@host"와 같이 입력 한다. 현재 가입이 금지된 사용자들의 명단을 알아보려면 "/MODE #abc b"를 한다. 채널의 모드가 "+m"인 경우 OP이외의 가입자에게 발언권(voice)을 주려면 "/MODE #abc +v nick"과 같이 한다.
IRC는 별의별 사람들이 다 모이는 곳이므로 채널의 분위기를 깨는 사용자가 나오게 마련이다. 이런 경우 OP는 그런 가입자를 쫓아낼 수 있는데, "/KICK #abc
많이 본 뉴스
-
1
켐트로닉스, 반도체 유리기판·웨이퍼 재생 시동…“인수한 제이쓰리와 시너지 창출”
-
2
'대세는 슬림' 삼성, 폴드7도 얇게 만든다
-
3
“美 트럼프 행정부, TSMC에 '인텔과 협업' 압박”
-
4
온순한 혹등고래가 사람을 통째로 삼킨 사연 [숏폼]
-
5
"불쾌하거나 불편하거나"...日 동물원, 남자 혼자 입장 금지한 까닭
-
6
트럼프 취임 후 첫 한미 장관급 회담..韓은 관세·美는 조선·에너지 협력 요청
-
7
삼성·SK 하이닉스 '모바일 HBM' 패키징 격돌
-
8
바이오헬스 인재 양성 요람…바이오판 '반도체 아카데미' 문 연다
-
9
아모레퍼시픽, 'CES 화제' 뷰티 기기 내달 출시…“신제품 출시·글로벌 판매 채널 확대”
-
10
“시조새보다 2000만년 빨라”… 中서 쥐라기시대 화석 발견
브랜드 뉴스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