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이야기 45] IRC (3)

어떤 채널에 처음으로 가입하는 사용자가 그 채널의 오퍼레이터(OP)가 되는데 채널 관리의 권한과 책임을 동시에 가진다. 즉 다른 사용자들에게 OP의권한을 줄 수도 있고 빼앗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들을 쫓아내거나 대화를 못하게 할 수도 있다. 채널 관리를 소홀히 하면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그 채널 을 떠나게 되고 결국 실패하고 말기 때문이다.

OP만이 /MODE 명령을 이용하여 "iklmnps-tov"등의 모드를 정할 수 있는데, 각 문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i:기존 가입자의 초대를 받아야 그 채널에 가입할 수 있다. (invite only) +k : "/JOIN #chan 를 입력해야 한다. (channel key)+l <숫자>: 최대 가입자를 <숫자>로 제한한다. (limited)+m:OP들만 발언할 수 있고, 나머지 가입자들은 발언권이 없다. (moderated) +n:채널 밖에서 그 채널로 메시지를 보낼 수 없다. (no MSGs)+p:/NAMES나 /L IST를 하면 Prv로 나타나며, 채널의 이름을 정확히 알아야 가입할 수 있다.

(private) s NAMES나 /LIST를 해도 나타나지 않으며, 이 채널안의 사용자들은 /LUSER S 명령의 사용자수에 포함되지 않는다. (secret) +t:OP만이 /TOPIC 명령으로 채널의 제목을 바꿀 수 있다. (topic limits)여 기서 "+"는 설정을, "-"는 해제를 의미하며, "+p"와 "+s"를 동시에 지정할수는 없다. 예를 들어 "/MODE #abc +instlk 30 pass"로 채널 #abc의 모드를 정하면 초대받은 사용자만 가입 허용(+i), 외부로부터의 메시지 금지(+n), 비밀 채널(+s), OP만이 제목 변경(+t), 최대 가입자를 30명으로 제한(+l30), 가입시 "/JOIN #abc pass"를 입력할 경우에만 가입을 허용(+k pass)함을 의미한다. MODE 명령에서 #abc와 같은 채널 이름 대신 현재의 채널을 의미하는 "*" 를 사용할 수 있다.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stn" 또는 "+tn"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른 사용자에게 OP권한을 주려면 "/MODE #abc +o MyFriend"와 같이 한다.

채널을 가로챌 속셈(전복, takeover)으로 OP가 되기를 원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믿을만한(?) 사람만 "+o"해주어야 한다.

특정 사용자 또는 특정 사이트의 사용자들을 채널에 가입하지 못하도록 하려면 "/MODE #abc +b BadGuy", "/MODE #abc +b *!user@host"와 같이 입력 한다. 현재 가입이 금지된 사용자들의 명단을 알아보려면 "/MODE #abc b"를 한다. 채널의 모드가 "+m"인 경우 OP이외의 가입자에게 발언권(voice)을 주려면 "/MODE #abc +v nick"과 같이 한다.

IRC는 별의별 사람들이 다 모이는 곳이므로 채널의 분위기를 깨는 사용자가 나오게 마련이다. 이런 경우 OP는 그런 가입자를 쫓아낼 수 있는데, "/KICK #abc This # is not for you"와 같이 한다. 가끔 채널의 분위기를읽지 못하고 엉뚱한 말을 했다가 박대를 당하는 경우가 있는데, 한두번 차였다고 심각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정신을 가다듬고다시 시작하면 된다. 대부분의 IRC사용자들이 정정당당하고 자신있게 행동하는 사람을 좋아한다는것을 알아두자.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