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콤 주주총회 뒷애기 ㅌ퇴진예정자 누락의견 분분

이번 데이콤 주총은 민영화 이후 처음 개최되는 데다 특히 경영권을 둘러싼 주변환경의 극심한 변화 속에서 열려 그 어느때보다 깊은 관심을 끌었다.

결과는임기만료된 신윤식 사장이 퇴진하고 손익수 부사장이 전격 발탁 됨으로써 그동안 유력하게 나돌았던 항간의 열이 사실이었음을 입증했다.

신윤식사장의 퇴진은 그동안 윤동윤 체신부 장관과의 불편한 관계, 최근 새로 최대주주로 부상한 동양그룹과의 알력 등 일련의 사건에 비춰 이미 기정 사실화됐었다. 윤장관과 신사장은 신사장이 체신부 차관 재직시 윤장관이 부하로 근무 했던사이로 신사장은 그동안 윤장관의 정책방향에 대해 여러차례 이의를 제기,이 들 사이에 상당한 알력이 있었으며 특히 시외전화사업 경쟁도입 문제를 놓고이같은 알력의 골이 깊어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다 신사장의 퇴진에는 최근 동양그룹이 데이콤의 경영권 장악을 추진 하는 과정에서 일을 매끄럽게 수습하지 못한 점이 크게 작용했다는 것이다.

신사장은통신의 공익성을 내세우며 동양그룹의 경영권 장악을 반대하는 입장에 섬으로써 데이콤의 최대 주주인 동양그룹과 정면대결을 벌이는 결과를초래 책임을 면하기 어렵게 됐다는 분석이다.

신사장의 퇴진이 기정사실화 되는 와중에서도 주주총회가 다가 오면서 한때 신사장의 재기용설이 유력하게 나돌기도 했다.

윤장관과극적인 화해가 이루어졌다는 것이 이같은 열의 배경이었으나 이는결국 열로 그치고 말았다.

신사장의퇴진과 함께 이번 주총에서 나타난 주목되는 현상중의 하나는 동양 그룹과 장기신용은행 등 대주주들의 입장이 반영된 점. 동양그룹은 당초 감사나 이사중 한명을 선임하겠다는 의사를 비춰왔는데 이번에 비상근 이사를 선임하는 선에서 받아들여졌다.

손사장의승진과 함께 자연스럽게 부사장이 한명으로 줄어든 것은 한국 통신 과의 균형을 맞추려는 형평논리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중론. 즉 데이콤 보다 덩치가 훨씬 큰 한국통신이 최근 주총에서 부사장 자리를 하나로 줄이며 조직 슬림화의 의지를 보임에 따라 데이콤도 자연스럽게 이 추세에 따르게 됐다는 것.

한편이번에 데이콤의 수장이 된 손사장은 데이콤을 둘러싼 최근의 주위환경 이 예측불허의 혼돈상황에 이르고 있는 점을 감안, 앞으로 상당한 난관을 헤쳐가야 하는 임무를 떠맡게 됐다.

우선아직 동양그룹과 장기신용은행 중에서 누가 최대주주가 될지 확정 되지않았지만 이 문제가 결정된 후 앞으로 이들과의 관계를 풀어나가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최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통신산업 구조조정작업 속에서데이콤의 위상을 확보해 내는 일도 손사장이 떠맡고 있는 중요한 일 중의 하나라는 분석이다.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