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래픽
-
GPT킬러 검사 결과
카테고리 : 정보통신 지면 : 3면 개제일자 : 2025.01.15 관련기사 : 무하유, 'GPT킬러'로 검사해보니 “검사 문서 중 56%가 챗GPT 활용”
-
연관 키워드
-
무하유, 'GPT킬러'로 검사해보니 “검사 문서 중 56%가 챗GPT 활용”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대학 과제물과 자기소개서 등 일상 전반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 바로가기 >
AI 표절 검사 전문기업 무하유는 2024년 한 해 동안 'GPT킬러'로 총 173만 7366건의 문서를 검사한 결과, 검사 문서의 55.9%에서 챗GPT 활용이 감지됐다고 밝혔다.
GPT킬러는 생성형 AI가 쓴 문장을 탐지해 주는 디텍트 GPT 솔루션이다. AI가 문서를 문단 단위로 쪼갠 뒤 챗GPT 작성 확률을 분석한다.
챗GPT를 활용한 문서를 살펴보면 대학 과제물이 70.04%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이어 자기.... - 관련자료
-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