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가 자사 플랫폼 중심의 유통 구조에서 벗어나 외부 플랫폼과 협업을 강화한다. 이른바 '오픈 밸류체인' 전략으로 전환한다.
IPTV 플랫폼에 대화형 AI 에이전트를 탑재하고, 콘텐츠 기획부터 제작·유통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AI 스튜디오도 운영한다.
이를 위해 2026년까지 5000억원을 투자한다. 미디어 사업을 KT그룹의 3대 핵심 포트폴리오 중 하나로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김채희 KT 미디어부문장은 16일 안다즈 서울 강남 호텔에서 열린 'KT그룹 미디어토크' 기자간담회에서 'KT 미디어 뉴 웨이(New Way)' 전략을 발표했다.
KT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지니 TV'에 대화형 거대언어모델(LLM) 기반의 미디어 AI 에이전트를 단계적으로 탑재할 예정이다. 오픈AI의 'GPT-4o'를 기반으로 커스텀 모델을 구축해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
김 부문장은 “기존 AI 기반 음성 검색이 만족스럽지 못했다”며 “지니 TV뿐 아니라 외부 콘텐츠 검색까지 가능하도록 진화시킬 것”이라고 설명했다. AI 에이전트는 홈쇼핑 특화 모델 등으로 개발돼 유료방송 생태계 전반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콘텐츠 제작 전 과정에도 AI를 도입한다. KT는 콘텐츠 밸류체인에 AI를 적용하는 'AI 스튜디오 랩'을 신설하고, 기획·편집·자막·PPL 등 제작 공정의 효율화를 추진한다. KT스튜디오지니는 숏폼 콘텐츠를 중심으로 AI 기반 제작을 확대하고 있으며, 롱폼 콘텐츠에도 실험적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자체 밸류체인에서 오픈 밸류체인으로의 전환도 눈에 띈다.
기존 12개 계열사 간 시너지를 중심으로 구축해온 '미디어 밸류체인' 전략에서 벗어나, 외부 플랫폼과 유기적 협력을 강화하는 '오픈 밸류체인' 체제로 전환한다. 과거에는 콘텐츠 제작부터 유통까지 그룹 내 선순환 구조를 지향했다면, 이제는 외부 플랫폼과 협업을 통해 콘텐츠 유통을 다각화하고, 지식재산(IP) 가치를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KT는 IP 중심의 제작 시스템으로 전환하고, AI 기술을 활용해 상업적 가능성이 높은 IP를 선제적으로 발굴해 다각도로 확장할 계획이다. KT스튜디오지니는 제작 콘텐츠를 넷플릭스, 티빙 등 외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와 동시 공개한다.
신종수 KT 미디어전략본부장은 “기존 미디어밸류체인 방식은 KT 그룹 내에서 선순환되는 구조를 그리다 보니까 구조적으로 성장이나 확산에 한계가 있었다”며 “오픈된 방식으로 AI와 IP 경쟁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외부 플레이어들과 제휴를 통해서 더 큰 플라이휠을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권혜미 기자 hyemi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