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산업단지에 수직농장이 입주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었지만 최종 입주계약을 체결한 곳은 4개월째 단 한곳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17일 관련 업계와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전국 산업단지 1300여곳에 수직농장이 입주한 곳은 한 군데도 없다.
규제 개선 이후 초기이긴 하지만 농산업계가 그동안 강력히 요구해온 점을 감안하면 인프라 공급이 뒤쳐졌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일부 기업은 투자 의향을 산단에 밝혔지만 기존 산단의 전력 허용치를 초과한다거나 설비 무게를 견디기 어려워 입주 계획을 철회한 곳도 있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전력이나 무게 등 원인으로 입주에 애로가 있는 산단이 있을 수는 있다”면서 “그러나 이러한 장애 때문에 제도 개선 효과 자체를 얻을 수 없을 정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필요한 사항은 순차적으로 검토해야 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정부는 규제개선을 통해 산단에 수직농장을 입주할 수 있도록 시행령을 개정하고 11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그간 산업단지는 제조업, 지식산업 등을 입주대상으로 하고 있어 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에 해당하는 수직농장은 입주가 허용되지 않았었다.
이 같은 규제 개선은 농산업계가 산단 내 수직농장 입주 허용을 건의한 데 따른 것이다. 고품질 원료나 소재작물을 수직농장에서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인접 공장에서 가공제품을 제조하면 물류·에너지 효율화를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규제 개선 이후 한 식품기업은 대규모 투자를 발표하기도 했다. 울산 향토식품 기업인 복순도가는 울주군 길천일반산업단지에 수직농장을 포함해 대규모 공장 시설을 짓는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를 위해 울산시와 복순도가는 산단 내 수직농장 건립을 위한 입지 양해각서를 작년 12월 체결하기도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산단 입주 협약을 체결하거나 관심있는 기업들은 있다”면서도 “다만 계약이 확정된 단계를 밟고 있는 곳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