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부문 데이터기반행정 평가에서 '우수' 등급을 받은 기관 비중이 조사 이후 처음으로 40%를 넘었다. 행정·공공기관 내 데이터기반행정 문화가 점차 확산한다는 방증이다.
행정안전부는 13일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총 679개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및 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이 같은 내용을 공유했다.
데이터기반행정은 데이터를 가공·분석해 정책 수립과 의사결정에 활용,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수행하는 행정을 의미한다.
행안부는 2021년부터 행정·공공기관 데이터기반행정 전반에 대한 이행 수준을 평가하고 있다. 2024년에는 △데이터 공유 △데이터 분석·활용 △관리체계 등 3개 영역 10개 세부지표를 점검했다. 특히 이번 실태점검에서는 시도교육청과 기타공공기관이 점검 대상으로 새롭게 포함됐다.
점검 결과 80점 이상을 받은 '우수' 등급 기관 비중이 43.2%로 40%를 처음 넘었다. 2년 전 23.5%에 비해 20%포인트 가량 늘어났다. 지난해에는 36.2%였다. 정부의 노력과 인식 개선으로 데이터기반행정 수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는 의미다.
반면 60점 미만을 받은 '미흡' 등급 기관 비중도 40%대로 나타났다. 기관 간 데이터기반행정 수준 격차가 여전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됐다.
행안부는 이번 실태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 전반 데이터기반행정 역량을 한 단계 더 올릴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예산·인력 등 여건이 미흡한 기관을 중심으로 맞춤형 컨설팅과 교육을 확대 지원한다. 지방자치단체 혁신평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등 타 평가와 연계를 강화해 자체 개선 노력을 유도할 계획이다.
평가결과 우수기관에 대해 정부포상을 수여하고 타 기관이 쉽게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데이터 분석·활용 우수사례를 공유할 방침이다.
올해(2025년) 평가에서는 인공지능(AI)시대에 맞춰 평가지표를 개편, 행정·공공기관의 AI 서비스 도입·활용도 촉진해 나갈 예정이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데이터기반행정 수준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며 기관 간 편차 해소에 더욱 힘쓸 계획”이라며 “행정·공공기관이 AI를 도입해 정부 정책 효율성을 높이고 대국민 AI 서비스를 속도감 있게 제공하도록 평가체계를 지속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