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데이터기반행정 평가, '우수' 비중 첫 40% 넘어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2024년 데이터기반행정 평가 비중

공공부문 데이터기반행정 평가에서 '우수' 등급을 받은 기관 비중이 조사 이후 처음으로 40%를 넘었다. 행정·공공기관 내 데이터기반행정 문화가 점차 확산한다는 방증이다.

행정안전부는 13일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총 679개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및 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이 같은 내용을 공유했다.

데이터기반행정은 데이터를 가공·분석해 정책 수립과 의사결정에 활용,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수행하는 행정을 의미한다.


행안부는 2021년부터 행정·공공기관 데이터기반행정 전반에 대한 이행 수준을 평가하고 있다. 2024년에는 △데이터 공유 △데이터 분석·활용 △관리체계 등 3개 영역 10개 세부지표를 점검했다. 특히 이번 실태점검에서는 시도교육청과 기타공공기관이 점검 대상으로 새롭게 포함됐다.

점검 결과 80점 이상을 받은 '우수' 등급 기관 비중이 43.2%로 40%를 처음 넘었다. 2년 전 23.5%에 비해 20%포인트 가량 늘어났다. 지난해에는 36.2%였다. 정부의 노력과 인식 개선으로 데이터기반행정 수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다는 의미다.

반면 60점 미만을 받은 '미흡' 등급 기관 비중도 40%대로 나타났다. 기관 간 데이터기반행정 수준 격차가 여전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됐다.

행안부는 이번 실태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 전반 데이터기반행정 역량을 한 단계 더 올릴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예산·인력 등 여건이 미흡한 기관을 중심으로 맞춤형 컨설팅과 교육을 확대 지원한다. 지방자치단체 혁신평가,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등 타 평가와 연계를 강화해 자체 개선 노력을 유도할 계획이다.

평가결과 우수기관에 대해 정부포상을 수여하고 타 기관이 쉽게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데이터 분석·활용 우수사례를 공유할 방침이다.

올해(2025년) 평가에서는 인공지능(AI)시대에 맞춰 평가지표를 개편, 행정·공공기관의 AI 서비스 도입·활용도 촉진해 나갈 예정이다.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데이터기반행정 수준이 점차 개선되고 있는 점은 고무적이며 기관 간 편차 해소에 더욱 힘쓸 계획”이라며 “행정·공공기관이 AI를 도입해 정부 정책 효율성을 높이고 대국민 AI 서비스를 속도감 있게 제공하도록 평가체계를 지속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Photo Image
최근 3년간 평가결과 등급 비중 현황. 자료=행안부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