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산업 유턴투자 늘린다…투자보조금 1천억 지원

Photo Image

정부가 국내복귀 첨단산업 기업 지원을 올해 확대한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본격화되면서 수출 구조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리쇼어링)가 대안으로 떠오르면서 정부는 지원책을 보강해 국내로 유턴을 촉진하고 있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첨단전략산업과 공급망핵심 분야 등 고부가가치 기업의 유턴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투자보조금 예산을 올해 대폭 확대한다. 지난해 570억원이던 투자보조금은 올해 1000억원으로 책정했다. 법인세 감면기간도 기존 7년에서 10년으로 연장했다.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백신 등 국가전략·첨단전략기술을 보유한 유턴기업이 비수도권에 투자할 경우 투자보조금 기본보조율을 기존 21%에서 24%p늘린 45%를 지원한다. 수도권에 투자하는 기업에는 지급하지 않았던 것을 올해는 26% 지원키로 했다.

비수도권에 투자하는 첨단업종과 국가전략·첨단전략기술 분야에 대해서도 최대 75%의 국비분담율을 적용한다. 이전에는 소부장핵심전략기술 기업에만 적용돼 혜택 기업 범위를 늘린 셈이다. 해당 분야의 투자유치를 촉진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부담도 완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박덕열 산업통상자원부 투자정책관은 반도체 부품 제조 국내복귀(유턴) 기업인 심텍 청주공장을 방문해 생산시설과 투자 예정공간 등을 둘러보며 현장의 애로를 청취하고 정부의 지원제도 등을 설명했다.

심텍은 지난해 5월 유턴기업으로 선정된 업체다. 반도체 및 모바일용 인쇄회로기판(PCB)을 주로 생산하는 첨단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심텍은 기존 청주공장의 여유 공간에 생산설비 확충을 지속할 계획이다.

박덕열 투자정책관은 “첨단산업 등의 유턴투자는 투자·고용 등 지역경제 활성화와 수출 동력 확보를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면서 “앞으로도 이들 기업의 국내복귀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