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1분기 104억원 순이익...8분기 연속 흑자

Photo Image
케이뱅크는 올 1분기 104억원 순이익을 내며 8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고 12일 밝혔다.

케이뱅크는 올 1분기 104억원 순이익을 내며 8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고 12일 밝혔다.

케이뱅크는 올 1분기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을 안정적으로 늘리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이자이익은 고객과 여·수신이 모두 성장하며 824억원에서 102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4.9% 늘었다. 케이뱅크의 올 1분기 말 고객은 871만명으로 지난해 1분기 말 750만명보다 121만명 늘었다. 1분기 말 수신은 16조6400억원, 여신은 11조94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1조5400억원, 여신 7조8100억원과 비교해 각각 44.2%, 52.9% 증가했다.

여신성장은 올 1분기 출시한 고정금리 전세대출과 적극적인 금리 인하가 견인했다. 케이뱅크는 이 기간 총 여섯 차례에 걸친 대출금리 인하로 경쟁력 있는 금리를 제공했다. 3월에는 인터넷은행 중 처음으로 고정금리 전세대출을 은행권 최저 수준 금리로 출시해 시장 호응을 얻었다.

수신도 업계 최고 수준 예·적금 금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모바일 돼지저금통’으로 불리는 단기 적금 상품을 출시해 잔액을 늘렸다. 파킹통장 플러스박스에 ‘바로 이자받기’ 서비스도 추가해 상품 경쟁력을 강화했다. 올 1분기 비이자이익은 8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9억원과 비교해 4배 이상으로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줄었다. 케이뱅크는 올 1분기 602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 196억원의 세 배가 넘는 충당금을 쌓았다. 충당금 적립을 크게 늘린 결과, 1분기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인 2022년 1분기(245억원)보다 줄었다.

1분기 말 연체율은 0.82%로 지난해 말보다 개선됐다. 여신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1분기 말 자기자본비율(BIS)비율은 지난해 말과 유사한 13.55%를 유지했다.

케이뱅크는 올 1분기에만 수신잔액이 약 2조원 늘어나는 등 꾸준히 자금이 유입되고 있고, 1분기 중 평균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이 276%로 시중은행 평균(100%)을 크게 웃도는 등 안정적으로 유동성 관리를 하고있다.

케이뱅크는 2분기부터 여신 영역에서는 담보대출의 비중을 확대하고, 수신 영역에서는 모임통장 등 비용경쟁력을 갖춘 상품을 출시해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함으로써 건전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이익을 확대할 예정이다.

서호성 케이뱅크 은행장은 “올 1분기는 선제적 건전성 관리에 집중했다”며 “이익 체력이 다져진 만큼,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는 한편, 시장에서 더욱 매력적인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다은 기자 danda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