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2050 탄소중립' 이행 원년을 맞아 국민체감형 환경 서비스 개발에 연구역량을 강화한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탄소중립, 그린뉴딜 등 국가환경정책을 과학적으로 지원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환경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22년도 주요 업무계획 중점 추진과제'를 13일 공개했다.
먼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첨단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맞춤형 대기질 환경 서비스로 국민의 만족도를 높인다.
'국가미세먼지 첨단감시센터', '한국형 부지 경계 측정법(사업장 밀집지역 원격감시)' 등 첨단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빅데이터 기반의 사업장 오염물질 배출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여 스마트 환경관리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사물인터넷(IoT), 이동측정차량, 드론 등 인공지능(AI) 기반 통합 플랫폼 및 원격감시기법 개발한다. 또 사업장 밀집지역의 원격감시체계 운영 및 배출량을 산정한다.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을 근원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항공기, 선박, 위성을 복합적으로 이용해 입체관측하고, 환경위성 산출물을 미항공우주국(NASA)을 포함한 국제 검증팀과 분석하는 등 국제협력도 내실화한다. 고농도 미세먼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올해 11월 시범운영을 목표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7일 주간예보 시스템을 구축한다.
둘째, 통합물관리 정착과 성과를 높이기 위해 4차산업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한다.
물순환, 수질, 수생태계 등 통합물관리 의사결정시스템의 요소 기술을 개발하고, 인공위성, 항공영상, AI 등을 활용한 불투수면 및 비점오염원 식별연구를 통해 통합유역관리 기반 기술을 강화한다. 수생태계의 건강성과 연속성을 국내 환경에 맞게 평가하는 방법을 마련하여 생태 훼손도 진단에 따른 적절한 자연성 회복 대책을 제시할 계획이다.
셋째, 세계적 수준의 환경시험·검사 역량을 확보하고 과학적인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한다.
환경부 소속 및 산하 기관들이 보유한 환경 측정분석 장비의 공동 활용 체계를 구축하고, 민관 개방형 환경표준 심의회 운영을 통해 민간의 국제표준 대응력을 향상한다.
김동진 국립환경과학원장은 “2050 탄소중립 이행의 원년을 맞아 우리 사회 전반에서 탄소중립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과학적인 기반으로 정책을 지원하겠다”면서 “미세먼지 저감, 통합물관리, 포용적인 환경서비스 제공의 성과를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연구역량을 최대한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준희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