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너지, 사람이 직접 하던 해저배관 검사 스마트 플랜트 기술로 대체

SK에너지는 울산컴플렉스에 위치한 'No.2 부이(Buoy)' 해저배관에 초음파센서 검사를 적용해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18일 밝혔다.

Photo Image
SK에너지 울산CLX에서 해저배관 검사를 위해 No.2 부이 해저배관에 인텔리전트 피그를 하역(왼쪽) 및 투입(오른쪽) 하고 있다. [자료:SK이노베이션]

부이는 부두에 접안이 불가한 총 톤수가 17만톤급 이상인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이 주로 정박하는 해상 하역시설이다. 부이에 연결된 해저배관을 통해 원유를 울산CLX 내 원유저장지역 탱크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울산CLX는 현재 No.2와 No.3 총 두 기의 부이를 운영 중이다. 이번 검사는 원유 하역 안전성 확보를 위해 2008년 신설된 No.2 부이를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했다. No.2 부이의 해저배관은 육상 1.1㎞, 해상 4.5㎞를 포함해 총 5.6㎞에 달한다.

과거에는 부이 해저배관 내부에 검사원이 직접 들어가 육안으로 배관 부식 상태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하지만 4㎞가 넘는 배관을 육안으로 검사하기에는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외부 부식 확인에도 한계가 있었다.

울산CLX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배관 내·외부 해저배관 전체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초음파를 활용한 '인텔리전트 피그' 설비를 적용했다. 인텔리전트 피그는 일반적인 비파괴검사가 어려운 장거리 배관, 원유 이송 지하 배관 등 검사에 사용하는 장비다. 과거 검사원이 진행한 검사보다 신뢰도가 높고 비용도 저렴하다.

인텔리전트 피그를 활용한 울산CLX의 No.2 부이 해저배관 검사는 지난 4월 12일부터 약 80일 간 사전작업과 본작업을 진행했다. 현재 사후작업 단계가 진행 중으로 해저배관 초음파검사 관련 결과 데이터 분석이 완료되면 최종 작업이 끝난다.

SK에너지는 추후 No.3 부이 해저배관 검사에도 인텔리전트 피그를 적용할 계획이다.

박성길 SK에너지 원유·제품운영실장은 “인텔리전트 피그를 활용해 사람이 수행하기 어렵고 위험한 장거리 해저배관 검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라며 “해양설비 안전관리를 위한 SK에너지의 스마트 플랜트의 성과”라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