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공공·민간 빅데이터 융합해 물류·전기차정책 마련

Photo Image
CJ대한통운이 현장에 도입한 전기택배차.

서울시가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이 보유한 빅데이터를 융합·분석해 물류·환경 정책을 마련한다. 권역 내 물동량과 자동차 검사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운행차종별 배출가스 저감 방안을 마련, 전기차 보급 정책에 활용한다.

서울시는 CJ대한통운 물동량 데이터와 신한은행 금융데이터를 융합·분석해 서울시 택배 물동량을 분석했다고 21일 밝혔다. 서울시는 시가 보유한 자동차 등록 데이터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 검사 데이터를 동원해 차종, 주행거리, 연식 등에 따른 배출가스도 분석했다.

서울시는 분석 결과를 도심 물류시설과 산업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반영한다. 시는 친환경 차량 전환시 배출가스 저감효과를 고려해 전기차 보급 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시 전체 온라인 택배 물동량은 전년 대비 26.9% 증가했다. 식품, 생활·건강, 패션의류는 착지 물동량이 증가한 반면 출산, 육아용품은 전년 대비 택배 물동량이 유일하게 감소(-19%)했다.

데이터를 분석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빅데이터·AI연구소 연구진은 서울시 출산율이 0.72명(2019), 0.64명(2020)으로 10.5% 감소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추정했다.

월별 추이를 보면 2020년 2~3월 마스크 대란, 7~8월 2차 유행 때는 마스크·손소독제 등 '건강용품' 물동량이 크게 증가했다. 사회적거리두기 정책(3월, 8월, 12월)이 시행되면서 DIY 자재·용품 물동량이 증가함도 확인했다.

디지털·가전 분야의 착지 물동량 비율은 용산구>금천구>영등포구 순, 도서/음반 분야의 경우 서초구>양천구>강남구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이 데이터(지역별 택배상품 데이터)를 통해 지역별 생활물류 수요를 파악, 도심물류정책에 활용한다.

차량 배출가스 분석은 일반 차량보다 주행거리가 2~3배 긴 영업용 차량(택시, 버스, 화물 등)의 배출가스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친환경 차량 보조금 산정모델을 만드는 데 초점을 뒀다.

서울시 등록 차량은 314만9766대(2020년 기준)로 일반차량이 294만5252대(94%), 영업용차량이 20만375대(6%)다. 한국교통안전공단 서울시 등록 차량 자동차 검사 데이터로 누적주행거리를 분석한 결과 일반차량은 평균 약 10만km, 영업용차량은 평균 21만~32만km로 영업용이 일반차량보다 2~3배 누적주행거리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자동차 등록 데이터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 검사 데이터를 융합해 기존 단일 데이터로는 파악할 수 없었던 차종별(영업용, 일반), 연료별(휘발유, 경유, LPG 등), 주행거리별, 차량연식별 배출가스를 분석했다.

택시는 일반차량에 비해 일 평균 주행거리가 8배 이상 길고, 이에 따라 일일 배출가스량도 약 7배 많았다.

택시 일일 배출가스량은 약 576.5g으로, 일반 차량 대비 7배가량 많은 배출가스를 내보냈다.

서울시립대 연구진은 친환경 차량 교체시 영업용 차량(택시)을 우선 고려하는 것이 배출가스 저감에 효과적이라고 풀이했다.

연구진은 친환경 차량 전환시 배출가스 감축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사례를 분석해 시내버스, 택시 친환경차 보조금 모델을 개발했다.

버스 부문에서 친환경 차량 전환이 필요한 1순위는 2015년 이전 CNG(압축천연가스)버스로 분석됐다. 버스 1대를 친환경 차량으로 교체하면 일반차량 대비 CO(일산화탄소)는 8배, HC(탄화수소)는 459배 더 감축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2015년 이전 CNG버스는 중량과 배기량이 크고, 주행한 거리가 길기 때문에 많은 배출가스를 내뿜는 것으로 분석됐다.

택시 부문에서 친환경 차량 전환이 필요한 1순위는 2013년 이전 LPG 개인택시로 나왔다. 동일 연식 LPG 일반 차량 교체시보다 5~8배 배출가스 감축 효과가 있다.

서울시는 분석결과를 활용해 배출가스 저감효과를 고려한 전기차 보급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원목 스마트도시정책관은 “데이터 기반으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시민이 접하기 힘든 고품질 데이터를 빅데이터캠퍼스를 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