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2/1360840_20201203154841_311_0001.jpg)
정부가 물동량 폭증에 따른 컨테이너 박스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소방수'로 나섰다. 국적 원양선사인 HMM이 발주하는 컨테이너 박스 비용을 리스해주거나, 선사들 간 유휴 컨테이너 박스 공유를 활성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3일 컨테이너 엑스체인지의 '컨테이너 가용성 지수(CAx)'에 따르면 지난달 유휴 컨테이너 박스는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컨테이너 박스가 태부족 상황에 이른 것은 줄어든 공급에 비해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 세계 컨테이너 박스 생산은 중국이 90%를 차지한다. CIMC, 신가마스, CXIC 등이다. 하지만 이들 기업은 올해 코로나19 사태로 컨테이너 박스 생산을 줄였다.
하지만 하반기 들어 컨테이너 수요가 폭증했다. 미국과 유럽 등이 재고 비축에 나서며 물동량이 대폭 늘었기 때문이다. 수출용 컨테이너 박스 수요는 자연스레 늘었다. 최근에는 블랙프라이데이 등 연말 특수까지 겹쳤다. HMM 등 국적선사들이 미주 노선 등에 잇달아 임시 선박을 긴급 투입하는 배경이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2/1360840_20201203154841_311_0002.jpg)
해운업계 부담 가중에 정부가 '구원 투수'로 나섰다. HMM에 대한 자금 지원이 우선 거론된다. 앞서 11일 HMM은 드라이 및 냉동 컨테이너박스를 각각 4만3000개, 1200개 발주한다고 공시했다. 투자액은 총 2290억원에 달한다.
주무부처인 해양수산부는 HMM의 투자비를 경감시켜주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해수부 관계자는 “해양진흥공사가 리스 플랫폼을 통한 선박금융으로 HMM의 컨테이너 박스 투자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면서 ”해양진흥공사가 컨테이너 박스를 구매하고 HMM에 리스해주는 형식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양진흥공사 활용은 가장 현실적 대안이다. 앞서 2018년 해진공은 정부 출자로 설립됐다.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해진공 법정 자본금은 5조원에 이른다. 기획재정부와 해양수산부 등 정부가 1조5500억원(지분 53.1%)를 출자했다. 국책은행인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 외에 한국자산관리공사까지 더할 경우 지분은 97.8%까지 늘어난다. 재무 여력을 바탕으로 정부 의지대로 자금을 활용할 수 있는 셈이다.
해수부는 선사들간 유휴 컨테이너 박스 공유를 활성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예를 들어 부산에 정박해 있는 한 선박에 컨테이너 박스가 모자를 경우 같은 항에 있는 다른 선박으로부터 돈을 주고 빌리는 식이다.
한국선주협회 고위 관계자는 “해수부가 선주협회를 통해 선사들 간 유휴 컨테이너 박스 공유를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전에도 해오던 것이지만 더욱 활성화하려는 것이고, 활성화된다면 해운사 숨통은 다소 트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궁극적 해결책으로 꼽히는 컨테이너 박스 국내 자체 생산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기존 국내 컨테이너 박스 생산 업체들이 생산 라인을 2000년대 들어 중국으로 모두 이전한 상황”이라면서 “국내 업체가 있다면 정부가 소재(강판) 등 우선 공급을 도와 컨테이너 박스 생산을 추진했겠지만, 아예 생산 기반이 없기 때문에 그럴 상황이 아니다”고 말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