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0/1342393_20201003184113_129_0001.jpg)
국립환경과학원은 해양수산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5일부터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를 통해 천리안위성 2B호 표준 해양영상정보를 게시한다고 밝혔다.
천리안위성 2B호는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주변 해양과 대기 환경을 관측하기 위한 정지궤도 위성이다. 지난 2월 19일 남아메리카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돼 약 8개월간 고품질 해양위성영상을 원활히 제공하기 위한 각종 시험 운영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10/1342393_20201003184113_129_0002.jpg)
기존 천리안위성 1호에 비해 성능이 대폭 향상된 해양탑재체를 장착한 천리안위성 2B호는기존에는 관측할 수 없던 해무, 저염분수 등 다양한 해양정보를 생산해 낼 것으로 기대된다.
해수부는 적조·유류 유출 등 해양재난을 대응하는 지자체와 어장탐색 등 어업활동 지원·관리기관과 해양 분야 연구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국립수산과학원, 국가기상위성센터, 국가환경위성센터 등 해양영상정보를 업무에 활용하는 기관에는 별도 통신망을 통해 해양관측정보를 직접 제공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해양쓰레기의 광역적 분포, 괭생이모자반 이동경로 등 다양한 해양정보를 지도기반 서비스에 접목시키는 등 위성정보 활용서비스도 지속적으로 추가할 예정이다. 향후에는 적조〃유류오염 탐지 등 해양현안 대응을 위한 위성정보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은 다음월 말 천리안위성 2B호의 대기환경 관측 위성 영상을 첫 공개하고, 검증과정을 거쳐 내년부터 정식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김영우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최정상급 대기환경 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고 대기환경 개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경민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