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창시절 다들 한 번은 영어단어장이란 걸 만들곤 한다. 그러다 보면 비슷한 단어를 만나기도 한다. 기억 나는 단어 가운데 'Cannibal'이 있다. 우리식으로 읽으면 카니발이니 자칫 '아하, 축제란 의미구나' 하고 넘어가면 큰 오산이다. 실제 의미는 '식인 풍습의'라는 무시무시한 뜻이다. 자칫 축제를 뜻하는 'Carnival'과 착각했다간 어느 놀이공원의 '축제 한마당(carnival ground)'처럼 공포 영화의 한 장면으로 묘사하게 될 수도 있다.

실제로 혁신을 '생각의 가장 작은 차이로' 설명하지만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꽤 오래된 일이긴 하지만 이 한 끗 차이를 떠올리게 하는 사례가 하나 있다.

1975년 11월 소니는 베타맥스란 이름으로 카세트테이프레코더(VCR)를 내놓는다. 디자인은 카세트플레이어(CD)의 고전 그 자체였다. 상단부로 테이프를 넣고,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버튼들이 그 앞으로 쭉 있다. 화질은 그때까지 제품들 가운데 최고로 여겨졌다. 소니도 시장 장악에 욕심을 냈다. 이렇게 VCR 시장은 소니 차지가 되는 것처럼 보였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그러나 1976년 9월 JVC는 VHS란 다른 포맷으로 제품을 내놓는다. JVC는 소니와 몇 가지 다른 전략이 있었다. 무엇보다 기꺼이 기술을 공유하고자 했다. 곧 히타치, 미쓰비시, 샤프가 VHS의 손을 들어 준다.

거기다 VHS에는 한 가지 다른 장점도 있었다. 비디오테이프가 베타 방식 것보다 한결 컸다. 소니의 0.5㎜ 테이프는 1시간용이었다. VHS는 2시간은 너끈했다. 소니는 화질만큼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글쎄 잘 모르겠는걸.” 화질에 비해 녹화 시간 차이는 피부에 와 닿았다.

베타맥스라면 축구 경기나 영화 중간에 테이프를 한 번은 갈아야 했다. 소니의 변명도 나름의 일리가 있었다. 보통 TV 프로그램은 1시간 남짓이지 않은가. 거기다 천천히 감기를 선택하면 화질은 좀 떨어지지만 2시간도 가능했다. 그런데 이런 식이면 VHS는 5시간도 무난했다.

이른바 '포맷 전쟁' 결과는 우리 모두 아는 것과 같다. 1975년 100%이던 소니 점유율은 1980년 40%로 줄어든다. 1981년엔 25%, 1986년에는 7.5%로 급전직하한다. 녹화 시간 차이가 우연이었을까. 그렇지는 않다. JVC의 개발 원칙 가운데 하나는 '테이프는 최소 2시간 가능'이었다.

우리는 생각의 사소한 차이를 여러 가지로 표현한다. 누군가는 대세를 못 본다 하고, 편집증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그러나 필립스와의 기술제휴 체결 전날 밤새도록 바른 선택인지 따져보느라 잠 못 들고 뒤척였다는 마쓰시타 고노스케가 쓴 평전의 한 구절을 보면 그리 볼 것도 아닌 듯하다.

그리고 여기 이 포맷 다툼에서 JVC가 승리한 것에 '믿거나 말거나' 같은 이야기가 하나 있다. 1976년 말 소니 임원 두 사람이 마쓰시타 고노스케를 만나기 위해 일본 오사카 본사로 찾아간다. 마쓰시타가 어느 편인지 확인하고 싶었다. 사무실 책상 위에 뚜껑 없이 놓인 두 제품을 들여다본 마쓰시타는 “베타맥스를 거부해야 하는 게 고통스럽지만 JVC 부품이 적다. 개당 100엔이든 1000엔이든 더 싸게 만들 수 있는 것을 선택해야 한다. 그래야 후발 주자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경영의 신' 마쓰시타는 이 100엔 차이로 승자를 내다봤는가 보다. 이 작은 차이가 만들 큰 차이를.

Photo Image

박재민 건국대 기술경영학과 교수 jpark@konku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