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03/1284816_20200323140209_258_0001.jpg)
한국전력은 가스터빈 핵심 설비인 기동장치 국산화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가스터빈 기동장치는 회전운동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터빈이 초기에 일정 속도에 도달하도록 돕는 장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GE·ABB·TMEIC 등 해외 제작사로부터 전량 수입해왔다.
한전은 중부발전·서부발전·남부발전·동서발전 등 4개 자회사와 공동으로 기동장치를 개발하고 두산중공업에 제작을 맡겨 국산화에 성공했다. 기동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회전체 속도제어 알고리즘과 같은 핵심 기술에 대한 특허를 확보한 후 기동장치 설계를 수행한 결과다.
한전은 지난 1월 중부발전 보령복합발전소에 자체 개발한 기동장치를 설치, 2개월간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후 전력거래소가 요구하는 기동소요시간에 충족해 이달부터 본격 상업운전을 개시했다. 현재 국내 5개 발전사가 운영하는 기동장치는 총 26기다. 이 중 노후화된 설비를 대상으로 2025년까지 5기를 국산화 기술로 교체할 계획이다.
기동장치 첫 국산화 성공은 해외 제작사보다 신속하게 발전사 유지보수 요청에 대응하는 것은 물론 국내 발전환경에 맞는 시스템 개선 차원에서도 의미가 각별하다. 석탄화력 사용률이 감소하고 가스발전 비중이 증가하면서 기동장치 수요도 함께 늘어나는 추세로, 국내 기동장치 시장 규모는 연간 1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재필기자 jpcho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