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03/1283574_20200318161356_975_0001.jpg)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코로나19 관련 랜섬웨어 유포 우려가 있다며 이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사이버보안 우려도 높아진 상황이다. 마스크 무료 배포, 감염자 동선 확인 등 가짜 정보를 앞세운 스미싱이 지속 포착됐다. 2017년 워너크라이 사태를 일으킨 서버 메시지 블록(SMB) 취약점에 대한 보안 업데이트도 긴급 발표됐다.
KISA는 랜섬웨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외 백신사 등 보안업체와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실시간 랜섬웨어 정보를 공유하며 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한다. 랜섬웨어 국내·외 이상 징후와 사고 사례를 모니터링한다.
랜섬웨어는 감염되면 데이터 복구 등 사후조치가 어렵기 때문에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중요 자료는 반드시 별도 저장 매체를 활용해 백업해야 한다. 운용체계(OS)와 소프트웨어(SW), 백신 프로그램은 최신 업데이트를 적용해야 한다.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은 실행하면 안 된다.
김석환 KISA 원장은 “코로나19 위기 극복에 필요한 제품을 생산하거나 관련 연구를 진행하는 기업이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국가적으로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KISA는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랜섬웨어 대응을 위한 안내 가이드 및 백업 가이드'는 KISA 보호나라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오다인기자 ohda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