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2003/1280789_20200310153836_446_0001.jpg)
1월부터 국세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덜 걷혀, 앞으로 세수여건이 녹록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2011년 월간 통계 공표 이후 처음 적자를 기록했다.
기획재정부가 10일 펴낸 '월간 재정동향 3월호'를 보면 올해 1월 국세 수입은 36조5000억원으로 작년 1월보다 6000억원 줄었다.
세수진도율도 전년보다 0.1% 포인트(P) 떨어진 12.5%를 기록했다.
세수진도율은 정부가 일 년 동안 걷으려고 목표한 세금 중 실세로 걷은 금액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기업실적 악화와 수입 감소로 법인세와 관세가 각각 1년 전보다 덜 걷힌 데 따른 영향이다.
법인세는 기업들의 영업이익 부진으로 전년 동월보다 2000억원 감소한 1조6000억원 걷히는 데 그쳤다. 관세도 수입실적 감소 등에 따라 전년 같은 달보다 2000억원 감소한 7000억원밖에 안 걷혔다.
부가가치세는 수출·설비투자에 대한 환급지급액이 감소하면서 전년 동월보다 1조원 늘어난 18조5000억원이 걷혔다.
지방소비세율(15%→21%) 인상으로 전년 같은 달 대비 1조5000억원 감소 효과가 포함된 액수다.
반면, 소득세는 전년 동월보다 2000억원 늘어난 9조3000억원이 들어왔다. 유류세 한시 인하가 끝나면서 교통·에너지·환경세 수입은 작년 1월보다 2000억원 늘어난 1조3000억원이 걷혔다.
올해 1월 세외수입은 1조6000억원으로 전년동월비 1000억원 감소했고, 기금수입은 13조2000억원을 기록해 전년동월비 6000억원 증가했다.
국세 수입에 세외수입·기금수입·세입세출 외 수입을 반영한 총수입은 51조2000억원으로 작년 1월보다 1000억원 감소했다.
총지출은 50조9000억원으로 작년 1월보다 6조5000억원이 늘었다. 기획재정부는 재정을 적극적으로 조기 집행한 결과라고 해석했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1월 기준 3000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통합재정수지에서 4대 보장성 기금을 제외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1조7000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적극적 재정 운용으로 전년 동월보다 흑자 폭이 6조6000억원 감소했다고 기재부는 설명했다.
관리재정수지가 1월에 적자를 보인 것은 2011년 관리재정수지 월간 통계 공표 이후 처음이다.
유재희기자 ryuj@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