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연합회 "獨·日·美처럼 협력적 노사관계로 전환해야"

국내 자동차 기업 노사가 글로벌 자동차 산업 경쟁 심화를 인식하고 협력적 관계로 전환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독일과 일본, 미국 기업 노사는 위기 때 한 걸음씩 양보해 일자리를 지키고 성과를 이뤄냈다는 주장이다.

Photo Image
정만기 자동차산업엽협회장.

30일 자동차산업 관련 6개 기관 연합체인 자동차산업연합회는 서울 서초동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대회의실에서 '자동차 선진국과의 노사관계 비교평가'를 주제로 제6회 자동차산업 발전포럼을 열었다.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장(KAMA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최근 글로벌 자동차 산업 변화의 근본 원인은 중국의 글로벌 시장참여와 기존 기업들의 글로벌 생산 확대로 인한 경쟁 심화”라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경쟁이 심화할 때 선진국 자동차 기업 노조는 단기 성과 분배보다는 본국의 경쟁력 확보를 통한 중장기 일자리 확보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해 협력적 노사관계가 정착됐다”면서 “근로자와 노동단체가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경쟁 상황을 객관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준규 KAMA 이사는 '선진국 주요 자동차 업체의 협력적 노사관계 요인 비교' 주제 발표에서 선진국 자동차 업체들은 글로벌 경쟁 심화로 위기를 겪으면서 협력적 노사관계를 갖게 됐다고 밝혔다. 김 이사는 “본국의 고용유지 자체가 어려워지자 임금안정과 노동유연성이 필요하다는 데 노조가 경영층과 인식을 공유하면서 가능하게 됐다”고 말했다.

토요타 노조는 1950년대 위기를 겪은 뒤 1960년대 초 종신고용제를 전제로 임금인상을 자제해왔다. 폭스바겐은 1990년대 이후 일본업체 진출 등으로 어려움을 겪자 노동유연화와 임금안정을 위한 제도를 도입했다. 제너럴모터스(GM)는 금융위기를 거치며 노동유연성 강화 등에 동의했다.

김태기 단국대 교수는 '5대 노동 적폐, 3대 노동 혁신' 주제 발표에서 호봉제 임금체계와 노동조합 특권, 전투적 노동운동, 노동정치, 이원적 노동정책이 5대 노동 적폐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3대 노동 혁신으로 △'혁신을 통한 고용안정-생산성 향상을 통한 임금인상'이 가능하도록 시장·미래 중심 노동시스템 혁신 △노동시장 구조를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노동계와 노동조합 혁신 △경제주체의 이익을 조화하는 노동정치와 노동정책 혁신을 제안했다.

한편 자동차산업연합회는 11월 19일과 20일 '우리 산업규제의 글로벌 조화방안'을 주제로 산업 발전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정치연기자 chiyeo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