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 장기적 안목 센서 원천기술 투자 필요"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인프라인 센서 원천기술 개발을 위해 장기적 투자와 전략적 연구개발(R&D)이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5일 일산 킨텍스에서 폐막한 '나노코리아 2019' 기간 중 함께 열린 스마트센서코리아 및 MNS코리아에 맞춰 한국센서학회와 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는 산·학·연 전문가 13명이 참석해 센서융합원천기술 발전방안을 토의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사물인터넷(IoT) '오감' 역할을 하는 센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지만 세계 센서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1%대에 머물러 있다.

이종흔 고려대 교수는 “국내 센서 시장 규모가 작은데다 다품종 소량이라는 특징 때문에 대기업들이 나서지 않으려고 하고 짧게 투자해서 빨리 이익을 얻으려는 우리나라의 속성과 반대되는 특징도 있다”고 진단했다.

박인규 KAIST 교수는 “평가 기준이 SCI 논문 수에 맞춰져 있다 보니 산업계 니즈와 동떨어진 연구를 위한 연구가 많이 이뤄지는 한계도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센서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10년 이상 장기적인 안목의 R&D 투자, 수요기업과 연계한 제품 개발, 다양한 분야간 융합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를 위해선 시장 수요, 기업 요구사항과 연계한 전략 방향 도출이 선행돼야 한다.

Photo Image
삼성전자 이미지 센서 아이소셀 브라이트 GW1

김혜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그룹장은 “산발적인 연구개발보다는 '킬러 애플리케이션'을 정하고 이에 맞는 컨소시엄을 세워 재료부터 시스템까지 함께 연구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접근해야한다”고 말했다.

강지윤 KIST 책임연구원은 “센서 하나가 세상에 나오려면 10년 이상이 걸리고 엔지니어가 필드에서 10~20년 경험을 쌓아야 설계와 생산 전반을 모두 볼 수 있는 전문가가 될 수 있는 만큼 긴 호흡을 가지고 인프라를 꾸준히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센서는 시스템 엔지니어링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기술 분야가 융합돼 발전하기 때문에 포럼이나 컨소시엄 형태로 재료부터 센서, 시스템 전문가가 함께 모여 논의할 수 있는 장이 필요하다는데도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재덕 LG전자 소재·생산기술원 센서솔루션연구소장 전무는 “과거 가스센서 관련 컨소시엄을 통해 심도있게 논의하면서 역량이 높아졌던 전례가 있다”면서 “대학, 연구소, 기업의 설계부터 공정,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소프트웨어까지 전문 영역이 어우러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희연 나노종합기술원 부장은 “기업, 대학, 출연연 입장이 달라 동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는 만큼 사업단 같은 추진체계가 있어야 성공할 수 있다”면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만드려면 센서 기업과 수요 기업이 자주 만날 수 있는 자리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컨소시엄 운영 방향으로는 '융합'과 '오픈 이노베이션'이 화두가 됐다. 이종흔 교수는 “대기업들은 '블랙박스'처럼 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이 필요한 기술에 대해 '오픈 이노베이션' 관점에서 장기 개발 과제를 주는 방식이 좋을 것 같다”고 조언했다.

변형기 강원대 교수는 “각 회사마다 표준운영지침(SOP)이 모두 다른 만큼 재료부터 검증까지 일원화된 프로세스로 진행하기 위해 표준화에 대한 필요성도 대두된다”고 말했다.


정현정 배터리/부품 전문기자 ia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