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 경험이 국가 경쟁력 강화로 연결되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퇴직 후 경제 활동에 참여하려는 중·장년 시니어가 늘고 있지만 노하우,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이 빈약하기 때문이다. 재취업 및 재창업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비등해지고 있다.
시니어벤처협회가 후앤후와 20일 개최한 '시니어 창업 확산' 주제 세미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중장년 창업 지원책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신향숙 시니어벤처협회장은 “정부 창업지원 혜택이 청년에 집중돼 있다”면서 “중·장년을 위한 지원 예산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경태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은 “고령화 사회에 걸맞은 정책을 펼치는 선진국 사례를 벤치마킹해야 한다”면서 “일하고 싶은 시니어가 사회 활동에 적극 나설 수 있도록 정부가 뒷받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제 활동을 원하는 시니어 수요는 계속 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중·장년 경제활동 참가율이 2014년 67.4%에서 2018년 68.0%로 지속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생산가능 인구 중 중·장년 비중도 14.6%에서 21.2%로 늘었다. 이 같은 흐름은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베이비부머 세대(1955~1974년 출생자) 퇴직이 본격화되고 있다. 약 14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가운데 31.4%는 노후 대비책이 부족하다.
그럼에도 돌파구는 마땅치 않다. 중·장년 재취업은 비정규직 분야에 몰려있다. 그러다 보니 비의도적, 생계형 창업을 선택하는 수요가 늘고 있다. 시니어 창업이 도소매업, 부동산·임대업, 숙박·음식점업에 집중되는 이유다.
신 대표는 “청년보다 중·장년 성공 비율이 높다는 근거 자료가 많다”면서 “경험과 전문성을 활용한 창업이 활발해지도록 정책 지원이 요구된다”고 당부했다. 그는 시니어 일자리 정책도 손질해야 한다고 밝혔다. “청년인턴제, 내일배움카드와 같은 직접적 혜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도 지원 의지를 내비쳤다. 신세일 창업진흥원 부장은 “국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속 성장 체제를 갖추기 위해선 중·장년 경제 활동 참여를 적극 장려해야 한다”면서 “전문성을 활용한 기술 창업이 활발해지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청년과 중·장년 간 차별이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5000억원 규모 창업진흥원 전체 지원 사업 중 80%에는 연령 제한이 없다”고 반박했다.
김대진 글로벌청년창업가재단 이사장은 “유럽연합은 '2020년 경제전략 성장 목표' 달성을 위한 열쇠로 시니어 창업을 꼽는다”면서 “국내 역시 시니어 문제를 국가적 어젠다로 설정, 민·관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종희기자 choij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