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 30년 만에 바뀐다…수요·산업 성장주기 따라 재편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산·학·연과 해외 연구기관 간 협력을 지원하는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이 30년 만에 문패를 바꾼다. 내용도 기업 수요와 산업 성장주기에 따라 사업을 나누고 국제표준화·인력파견·해외인증 등 부가 사업도 강화한다. 최근 국가 간 기술개발 단계부터 협력이 확대되는 추세를 반영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산업기술진흥원(KIAT)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산업기술국제협력2025'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하고 심의를 받고 있다.

기존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이 2020년 일몰되면서 후속 사업 수립에 나섰다.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은 1990년 시작됐다. 30년 만에 사업이 일몰하면서 사업 명칭과 내용을 대폭 바꾼다.

후속사업 명칭은 '산업기술국제협력2025'이다. 수요자 중심으로 사업을 재편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처럼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과 국제협력기반구축사업 두 축으로 사업을 구성했지만 내용은 대폭 바꿨다. 세계 국가·권역별 전략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산업 성장주기에 따라 사업을 나눴다. 연구개발(R&D) 이외 사업 지원도 강화해 다방면에서 국제 기술 협력을 가능하게 했다.

국제공동기술개발사업은 기존 양자펀딩형·다자펀딩형·일방형 사업으로 구분하던 것을 미래산업창출형·주력산업성장형·신흥시장확대형으로 나눴다. 수행 방식에 따른 구분을 사업 목표에 따라 나누고, 지원 대상·분야·규모별로 세분했다.

각 사업은 R&D 자금 지원 외 부가 사업 지원도 강화했다. 미래산업창출형 사업은 인력파견·국제표준화를, 주력산업성장형 사업은 인력파견·해외인증 사업을, 신흥시장확대형 사업은 현지 실증화를 추가 지원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기존에는 운영 주체에 따라서 사업을 구분했지만 예타 신청 사업에서는 기업 목적에 따라 사업을 나눴다”며 “단순히 R&D 자금을 지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국제표준화와 인력파견 조항을 사업에 담는 등 다방면에서 국제기술협력을 강화했다”고 밝혔다.

국제협력기반구축사업은 국내에 국제기술협력지원센터(NCC)를 만들고, 해외에는 기술협력거점(GT)을 육성한다는 목표를 담았다. 이와 함께 글로벌 기술협력네트워크와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한 온라인 통합시스템도 갖출 계획이다.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은 산업기술의 개방융합·글로벌화에 따라 국내 산·학·연을 대상으로 해외 우수 R&D 파트너와 공동기술개발을 지원한다. 1990년 시작된 사업은 2010년대 중반 이후 지속 확대 추세를 보였다. 산업부에 따르면 사업 시행 이후 미국·독일 등 첨단기술국과의 공동협력을 11개국 규모로 확대했다. 최근 5년간 국내 참여기업 수출 규모는 2014년 77억원에서 2016년 365억원으로 늘어났다. 올해 사업 예산은 566억원이다.

산업부는 기술 개발 단계부터 협력이 강화되는 추세에 따라 국가·권역별 중심으로 사업을 운영할 계획이다. 기존에 유럽 중심으로 기술협력을 추구했다면 최근 떠오르는 아시아 지역 협력도 강화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이 그간 유럽을 중심으로 외형적 성장을 이뤘다”며 “새 사업에서는 신북방·신남방을 비롯한 국가·권역별 접근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표>기존 '산업기술국제협력' 사업과 '산업기술국제협력2025' 사업 비교

'산업기술국제협력사업' 30년 만에 바뀐다…수요·산업 성장주기 따라 재편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