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지난해 폐기한 손상화폐가 6억2700만장, 가치로는 총 4조2613억원에 달했다고 16일 밝혔다. 전년(6억200만장) 대비 2500만장(4.1%) 증가했다. 이를 폐기하고 새 화폐로 바꾸는 데 639억원이 소요됐다.

은행권 5억9000만장(4조2590억원)과 주화3700만개(23억원)가 폐기됐다. 1만원권(55.4%)이 3억3000만장으로 가장 많았으며, 1000원권(2억2000만장, 36.7%), 5000원권(3000만장, 5.8%), 5만원권(1000만장, 2.0%) 순이었다.
한은에서는 폐기된 물량을 낱장으로 높게 쌓을 경우 총 62.5㎞에 달하며, 이는 롯데월드타워 113배, 백두산 높이 23배, 에베레스트산 7배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주화 중 10원화는 2300만개(61.6%)가 폐기됐다. 이어 100원화(900만개, 25.7%), 50원화 (300만개, 6.9%), 500원화(200만개, 5.7%) 순이었다.
일반 국민이 한은에서 교환한 손상화폐는 총 56억4000만원이었다.
일반 국민이 한국은행에 교환을 의뢰한 손상은행권 액면금액은 24억2000만원이나 실제로 교환 받은 금액은 23억원으로 집계됐다. 나머지 1억2000만원은 반액 또는 무효 판정으로 교환받지 못했다.
한은은 원래 면적과 비교해서 남아있는 면적이 4분의 3 이상이면 액면금액 전액을, 5분의 2 이상 4분의 3 미만이면 액면금액 반액을 교환해주고 있다. 그 미만은 교환해주지 않는다.
한은 관계자는 “불에 탄 은행권은 붙어 있는 재 부분까지 남아 있는 면적으로 인정하므로 불에 탄 상태 그대로 재를 털어 내거나 쓸어내지 말고 상자나 용기에 담아야 한다”며 “금고, 지갑 등에 보관된 은행권이 불에 탄 경우 보관용기 상태로 운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