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지만 정부 규정이나 가이드라인이 없어 걱정입니다. 상황에 따라 다 엎고 다시 만들어야 할 수도 있고요. 사업 자체를 포기해야 할 수도 있죠. 뚜렷한 규제나 가이드라인이 정말 필요합니다.”
블록체인 분야 현업에 종사하는 개발자 의견 개진을 위한 장이 마련됐다. 산업 저변을 만들어가는 일선 개발자 목소리를 한데 모았다. 정부 정책과 입법 반영도 추진한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811/1133303_20181128142740_502_0001.jpg)
송희경 자유한국당 의원은 한국블록체인개발자협회(회장 정한신)와 함께 2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블록체인 오픈체인:블록체인 테크니션 얼라이언스 오픈토크'를 개최하고 블록체인 분야 엔지니어(개발자) 중심의 첫 모임을 가졌다. 대기업 블록체인 개발자와 블록체인 스타트업 대표, 법무담당, 금융투자자 등 30여명이 참석, 자유로운 분위기 속 의견을 나눴다.
송 의원은 “블록체인, 암호화폐, ICO 등이 많은 행사에 형용사처럼 서두에 붙지만 제대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최소 가이드라인도 없는 현실”이라며 “블록체인 기술을 이해하고 미래를 고민하는 개발자 목소리가 간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고 모임 취지를 밝혔다.
참석자들도 주무부처조차 모호한 상황에서 불확실성이 해소돼야 투자나 신사업 추진이 활성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강경원 프레스토 대표는 “스마트 컨트랙트보다 기술적으로 복잡한 다이코(DICO) 자동화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는데 과연 쓸 수 있을지 걱정”이라며 “제도권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ICO도 포기하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주현 법무법인 광화 변호사도 “블록체인 관련해서 가장 큰 문제는 주무부처가 명확하지 않은데서 오는 혼란”이라며 “법제화로 주무부처를 명확히 하고 가상통화 관계기관 합동 TF도 단순 회의만 하는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대화하는 전담 민원창구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꼬집었다.
![Photo Image](https://img.etnews.com/photonews/1811/1133303_20181128142740_502_0002.jpg)
블록체인은 육성하고 암호화폐·ICO는 가로막는 정부 분리 대응 방침도 비판했다.
김보규 글로스퍼 사업본부장은 “돈이 안 되는 분야에 잘 투자하지 않는 우리나라에서 ICO마저 없었다면 이만큼 만들어내기도 쉽지 않았을 것”이라며 “암호화폐로 나쁜 짓 하는 사람이나 집단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야지 분리해서 육성하고 규제하기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정부 블록체인 과제에 대한 문제의식도 공유했다. 관성적으로 SI식 시범사업 위주로 발주되다보니 사업화 경쟁력이 충분히 갖추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조 연구원은 “정부 진흥정책을 보면 결국 유관기관만 남는다”며 “블록체인 예산 5000억원을 편성해도 사업기간을 길게 잡고 원천기술 개발 등에 투입하고 나면 (업체들은)관성적으로 SI성 시범사업이나 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박정은기자 je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