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0조원' 선까지 뚫린 가계부채...정부 규제에도 소득 증가세 앞질러

가계 부채가 마침내 1500조원까지 넘어섰다. 정부 가계대출 총량 관리로 증가 속도는 늦췄지만, 가계소득을 앞지르는 '금융불균형'은 여전했다.

Photo Image
ⓒ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18년 3분기 중 가계신용'에 따르면, 3분기 말 가계신용은 1514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1500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 보험사,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각종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과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을 합친 통계다.

9.13 부동산 대책과 지난달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규제 등으로 증가속도는 둔화했다. 전 분기 대비 증가 금액 22조원으로, 2분기(24조1000억원)보다 적었다. 가계대출 급증기인 2015∼2017년에는 평균 30조5000억원씩 늘어난 데 비하면 그 규모가 축소됐다.

지난 1년 간 증가액은 95조1000억원으로, 100조원 아래로 내려갔다. 2015년 1분기 이후 3년 반만에 최소치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6.7%로, 2014년 4분기(6.5%) 이후 가장 낮았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2016년 4분기(11.6%)를 최고치로 찍은 후 하락세로 들어섰다.

하지만 여전시 그 속도가 소득 증가세보다 빨랐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월평균 명목 가계 소득은 1년 전보다 4.2% 증가했다. 가계 소득 증가율은 지난해 2분기 이래 5%를 넘지 못했다.

그 결과, 가계 처분가능소득 증가율도 0~1%대에 그쳤다. 가계 처분가능소득은 세금, 사회보험금 등을 빼고 실제로 쓸 수 있는 돈이다.

부문별로 가계대출은 3분기 말 1427조7000억원으로 전분기보다 18조5000억원 증가했다. 그중 예금은행 가계대출(695조9000억원)이 14조2000억원 확대됐다. 예금은행 가계대출 증가 규모는 전 분기(12조800억원)보다 늘었다. 아파트 입주, 전세 확대 등으로 잔금 납부에 따른 집단대출, 전세자금 대출이 증가한 탓이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8조6000억원으로 2016년 4분기 이래 정점을 찍었다.

비은행 예금 취급기관 가계대출 잔액은 전 분기와 같은 317조2000억원이었다. 정부가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7월 상호금융권 가계대출에도 DSR을 도입한 영향이 작용했다.

기타금융기관 가계대출은 4조2000억원 증가한 414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신용카드 이용액 등 판매신용은 86조7000억원에 달했다. 9월 추석 연휴 때문에 신용카드 이용금액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함지현기자 goham@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