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핀테크 이용률 중국 절반에도 못 미친다

우리나라 핀테크 평균 이용률이 중국의 절반에도 못 미치고, 전 세계 100대 핀테크 기업에 포함된 우리나라 기업은 단 하나에 불과하다.

금융감독원이 6일 발표한 '핀테크 주요 트렌드 및 시사점'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언스트앤영(EY)이 발표한 '2017년 핀테크 도입지수' 전 세계 20개국 핀테크 평균 이용률은 33%였다. 2015년(16%)에 비하면 17%포인트 올랐다.

Photo Image

EY는 2015년부터 핀테크 이용률이 가장 높은 20개국에서 인터넷 적극 사용자 2만2000명을 대상으로 핀테크 이용률을 조사하고 있다.

우리나라 핀테크 평균 이용률은 32%로 20개국 평균과 비슷했다.

그러나 중국(69%) 절반에도 못 미쳤으며 인도(52%)나 브라질(40%), 호주(37%), 멕시코(36%)보다도 낮았다.

세계 주요 핀테크 기업 중에도 한국 기업의 활약은 미미했다.

글로벌 회계·컨설팅기업인 KPMG와 핀테크 벤처투자기관인 H2벤처스가 공동으로 발표한 '2017 핀테크 100'에 따르면 핀테크 100대 기업은 미국 기업이 19개로 가장 많았고 호주(10개), 중국(9개), 영국(8개) 순이었다.

100대 기업 중 한국 기업은 모바일 앱 토스를 통해 간편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바리퍼블리카가 뿐이었다.

100대 핀테크 기업의 업종을 보면 P2P 금융회사가 32개로 가장 많았고 지급결제(21개), 자본시장(15개), 보험(12개) 순이었다.

국내 핀테크 산업 역시 P2P 금융과 간편 송금·결제 분야 위주로 성장하는 모습이다.

P2P 금융을 활용한 누적 대출액 규모는 2016년 말 6289억원에서 지난 3월 말 2조9674억원으로 5배 가까이 커졌다.

지난해 일평균 간편결제·송금 액수와 건수는 각각 1023억원, 281만건으로 전년 대비 212.0%, 180.1% 늘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신기술 활용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로보어드바이저(AI)와 개인 신용평가(빅데이터), 챗봇(AI), 증권사 공동 블록체인 공인인증서(블록체인) 등에서 신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며 은행권 공동 블록체인 공인인증서 도입이나 이상 금융거래 탐지 등의 분야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처럼 핀테크가 발전하면서 리스크도 함께 커지고 있다.

정보통신(IT)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사이버보안 리스크 등이 증가하며, 금융소비자도 금융 사기 등으로 인한 피해 발생 우려가 커졌다.

금융당국도 다양성·탈중앙화 등으로 통제와 모니터링의 어려움이 커지는 상황이다.


조성묵기자 csmook@etnews.com


브랜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