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보편요금제 등을 논의할 '통신비 사회적 논의기구'를 국회가 아닌 행정부에 설치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4일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 '제12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통신비 부담 경감 대책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 일환으로 이 같은 방안을 보고했다.
정부는 통신비 사회적 논의기구를 행정부에 두고 통신사, 소비자단체, 전문가, 협회 관계자 등 15명 내외로 구성, 운영 기간은 100일로 확정했다.
정부가 통신비 사회적 논의기구 설립을 보고했지만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15명을 어떻게 선정할 지 논쟁이 불가피하다. 중립성 확보가 관건이다.
정부 부처 참여도 마찬가지다. 국무조정실 설치가 유력한데 방송통신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등 다른 정부부처도 참여할 길이 열린다. 과기정통부에 설치할 경우에는 대표성 논란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한편, 유 장관과 이효성 방통위원장은 △이동통신 약정요금할인율 상향조정(20→25%)과 기존 약정자 일부에 대한 대책 △취약계층 요금 감면 시행 계획 △알뜰폰 전파사용료 감면 등 활성화 방안 △보편요금제 도입 △통신사업 진입규제 개편 △지원금 상한제 폐지에 따른 이통시장 안정화방안 등을 보고했다.
박지성기자 jisung@etnews.com